▲ 작자 미상, ‘과정시례’ 곡부문물출판사 |
40대의 공자는 어떻게 살았을까. 본인 스스로 ‘마흔이 되어서는 미혹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후부터 ‘불혹(不惑)’은 사십의 대명사가 됐다. 불혹의 주인공이 공자다. 공자는 안영(晏嬰)의 반대로 제나라에서 등용되지 못하고 노나라로 귀국했다. 37세 때였다. 귀국한 뒤 그의 명성은 점점 높아져 스승으로 모시려는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하지만 정치인이 돼 자신의 포부를 펼칠 기회는 오지 않았다. 공자는 귀족 가문인 삼환(三桓)이 권력을 장악하고 전횡을 일삼자 관직에 나아갈 마음을 접었다. 그는 황금 같은 40대를 제자 양성과 공부하는 것으로 보냈다. 공자는 물가를 거닐며 제자들에게 물의 덕을 가르쳤고 그들의 포부를 물어 꿈을 키워줬다.
가르치는 사람은 많이 아는 사람이 아니다. 가르치기 위해 공부하다 보니 많이 알게 됐다. 많이 공부하고 많이 알다 보면 자연스레 자기 나름의 체계가 생긴다. 박학다식해진다. 공자가 그랬다. 공자는 자신을 ‘많이 배워서 그것들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배운 것들을 하나로 꿰뚫고(一以貫之)’ 있는 사람이라고 자평했다. 한 우물만 계속 파다 보면 나름대로의 안목과 통찰력이 생기는 법이다. 사람들은 이상한 물건이 발견되면 공자에게 물었다. 생전 처음 보는 말(馬), 붉은 새, 특이한 과일에 대해 공자에게 물었다. 공자는 ‘일이관지’하며 공부하는 틈틈이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기(禮記)’ ‘악기(樂記)’를 편수했다. 14년 동안 공자의 생활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그 세월이 오죽했으랴.
이것은 필자 같은 후대 사람의 생각이고 공자는 결코 조급해하지 않았다. 절망하지도 않았다. 그는 “부(富)라는 것이 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비록 채찍을 들고 길을 트는 자라도 하겠다”고 말하면서도 “만일 구할 수 없는 것이라면, 나는 내가 좋아하는 일을 따르겠다”고 당당히 선언한다. 부유함과 마찬가지로 귀하게 되는 것도 사람들이 바라는 것이다. 공자는 그것이 “정당하게 얻은 것이 아니면 누려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가난함과 천함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다. “그것이 정당하게 얻어진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벗어나려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공자의 생각이다. 자신의 힘으로 안 되는 것을 억지로 어떻게 해보려고 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할까. 막연하게 자신의 운명에 순응하며 이끌리듯 살아야 할까.
아니다. 준비를 해야 한다. 언제라도 누가 부르면 달려 나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준비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공자는 “장인이 자기가 맡은 일을 잘하려면 반드시 먼저 그의 연장을 날카롭게 해놓아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렇게 연장을 갈고 기다려도 다른 사람이 나의 존재를 알지 못한다. 설령 그렇다 해도 원망해서는 안 된다. 공자는 “다른 사람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이 능력 없음을 걱정하라”고 가르친다. ‘논어’에는 이와 비슷한 내용이 여러 차례 나온다. ‘지위가 없는 것을 근심하지 말고, 그 자리에 설 수 있는 능력을 근심하라’라거나 반대로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다른 사람이 알아줄 만하도록 되는 것을 추구하라’고 깨우친다. 이것은 ‘자신에 대해서는 엄중하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가볍게 책망’하는 삶의 철학이다. 이런 철학이 있어야만 ‘원망을 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르친다.
말이 쉽지 그게 어디 실천하기가 쉬운가. 아무리 많은 준비를 하고 있어도 세상이 나를 써 주지 않으면 준비가 무슨 쓸모가 있겠는가. 학맥과 인맥이 얽히고설킨 세상에서 백 없고 돈 없는 사람은 무슨 수로 출세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자신이 불행한 원인을 온통 세상 탓으로 돌릴 때 공자는 “군자는 원인을 자기에게서 찾고, 소인은 남에게서 찾는다”고 일갈한다. 공자의 준엄한 가르침은 그뿐만이 아니다. 공자는 여기서 더 나아간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하지 않으면 또한 군자답지 않은가?”라고 하면서 군자 되기를 다그친다. 군자가 되지 않아도 좋으니 그저 자신의 기량만 펼치고 싶다는 소인에게 거듭 자족하라고 충고한다. 그게 과연 가능한 걸까. 어쩌면 이 말은 무너지려는 자신을 다잡기 위해 공자가 스스로에게 다짐한 말일지도 모른다. 그의 가르침을 찾아 수많은 제자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남에 대한 가르침은 그렇다고 치고 공자는 자신의 아들을 어떻게 가르쳤을까. ‘과정시례(過庭詩禮·정원을 지나가며 ‘시경’과 ‘예기’를 가르치다)’는 공자가 아들 공리(孔鯉)에게 공부에 대해 묻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공자가 정원에 홀로 서 있을 때 아들 공리가 조심스럽게 지나갔다. 공자가 아들을 불러세우고 물었다. “‘시경’을 공부하였느냐?” 공리가 대답했다. “아직 공부하지 못했습니다.” 공자가 말했다. “‘시경’을 공부하지 않으면 사람과 사귀지 못한다.” 아버지의 걱정을 들은 공리는 그 자리에서 물러나와 ‘시경’을 공부했다. 며칠 후 또 공자가 정원에 홀로 서 있었다. 아들 공리가 조심스럽게 지나갔다. 공자가 공리를 불러세우고 물었다. “‘예기’를 공부하였느냐?” 공리가 대답했다. “아직 공부하지 못했습니다.” 공자가 말했다. “‘예기’를 공부하지 않으면 세상에서 처세할 수 없다.” 공리는 그 자리에서 물러나와 ‘예기’를 공부했다.
부모에게 모든 자식은 다 귀하다. 많은 부모가 자식에게 집착한 이유도 귀하고 귀한 자식이 행여 불행해질까봐 두렵기 때문이다. 공자도 마찬가지였다. 성인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공자 또한 자식의 교육에 열과 성을 다했다. 공자가 자식이 몇 명이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아들 공리 외에 딸이 한 명 더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논어’ 공야장에 보면 ‘비록 포승줄에 묶인 채 감옥 안에 있었으나 그의 죄가 아니었다’는 말을 하면서 ‘자신의 딸을 아내로 주었다’는 구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들은 공리 외에 언급된 바가 없다. 그렇게 귀한 아들을 가르치는 교육 현장이 ‘과정시례’다. 그런데 어째 조금 아버지와 아들의 대화가 담백하다 못해 심심하다. 당시 공자는 수많은 제자를 거느린 최고의 스승이었다. 그 정도 인물이라면 자신의 아들에게 뭔가 특별하고 비밀스러운 교육을 시키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은 필자같이 소견 좁은 사람만 하는 것은 아닌 듯하다. 당시 공자의 제자 중에도 필자와 똑같은 생각을 한 사람이 있었던 모양이다. ‘논어’ 계씨에는 ‘진항(陳亢)’이라는 사람이 공리에게 아버지로부터 “뭔가 특별한 것을 들었느냐”고 묻는 장면이 나온다. 그때 나온 대답이 위의 이야기다. 공리의 대답을 들은 진항은 자신이 스승으로부터 소외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물러나 기뻐하면서 말했다. “하나를 물어서 셋을 얻었으니 시를 얻었고, 예를 들었으며, 또 군자가 그의 자식을 멀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진항이 진짜 얻고 싶었던 답은 세 번째였으리라. 진항의 태도는 ‘자신의 능력 없음을 탓하라’는 공자의 가르침과 정반대되는 행동이다. 그런 모습이 어찌 진항뿐이겠는가.
공리는 ‘공자성적도’에 두 차례 등장한다. 첫 번째는 공리가 태어났을 때 노나라 군주 소공(昭公)이 잉어(鯉魚)를 하사해서 이름을 리(鯉)로 지었다는 ‘명명영황(命名榮貺)’ 장면 때 등장한다. 두 번째가 위의 ‘과정시례’ 때다. 공리는 50세에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다. 공자의 사상은 공리의 아들인 손자 급(伋)에게 전해졌다. 급은 자(字)가 자사(子思)로 남송 유학자 주희(朱熹)에 따르면 자사가 ‘중용(中庸)’을 지었다고 한다. ‘과정시례’의 이야기는 발전을 거듭해 후세에는 ‘정훈(庭訓)’이 아버지의 가르침을 뜻하는 말이 됐다. 공자의 정훈은 ‘시경’과 ‘예기’를 공부하라는 것이었다. 사람과 사귈 수 있고 세상에서 처세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내려준 가르침이다. 공자의 정훈은 지금도 유효한가. 한번 실험해 볼 일이다.
조정육 홍익대 한국회화사 석사, 동국대 박사 수료. 성신여대 대학원, 동국대 대학원 강의. 저서 ‘그림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거침없는 그리움’ ‘꿈에 본 복숭아꽃 비바람에 떨어져’ ‘조선이 낳은 그림 천재들’ ‘우리나라 대표 그림’ ‘그림공부, 사람공부’ |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읽는 공자]재상이 된 공자가 처음 한 일은 사형이었다-주소정묘 (0) | 2014.03.16 |
---|---|
[그림으로 읽는 공자]불혹의 공자가 강물을 보고 생각한 것은-증점욕기 (0) | 2014.03.15 |
[그림으로 읽는 공자]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태산문정 (0) | 2014.03.13 |
[그림으로 읽는 공자]‘클래식 매니아’ 공자, 음악을 통해 예를 배우다-방악장홍 (0) | 2014.03.12 |
[그림으로 읽는 공자]노자를 찾아가 예를 묻다-문례노담 (0) | 201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