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자 미상 ‘태산문정’, 곡부문물위원회 |
공자는 자신의 삶을 어떻게 평가했을까. 73세에 세상을 떠난 공자가 70세까지의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열다섯에 배움(學)에 뜻을 두었고, 서른이 되어서는 자립(而立)했으며, 마흔이 되어서는 미혹되지 않았고(不惑), 쉰이 되어서는 천명(天命)을 알았으며, 예순이 되어서는 귀가 순해졌고(耳順), 일흔이 되어서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不踰矩).”
열다섯에는 철이 없어 몰랐다 해도 서른부터는 어쩐지 공자처럼 살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부담을 주는 문장이다. 마흔은 어떠한가. 불혹은커녕 천명을 알아야 할 쉰 살까지 날마다 유혹을 느끼며 살고 있지 않은가. 예순이 되고 일흔이 되면 그래도 괜찮게 살았어라고 지난 시간을 긍정할 수 있을까. 아직은 모르겠다. 더 살아봐야겠다. 공자 근처라도 다가갈 수 있을 때까지.
34세 때 노자를 찾아 예를 물었던 공자는 35세에 일자리를 찾아 제(齊)나라로 갔다. 그가 제나라에 가게 된 계기는 자의반 타의반이었다. 노(魯)나라의 군주 소공(昭公)이 제나라로 망명했기 때문이다. 노나라 임금은 주공(周公·주나라를 세운 무왕의 동생)의 자손이었고 공(公)의 작위를 가진 제후였다. 공자가 태어날 무렵에는 귀족 가문인 삼환(三桓·환공의 자손) 세력이 임금보다 더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고 있었다. 삼환은 맹손씨(孟孫氏), 숙손씨(叔孫氏), 계손씨(季孫氏)를 일컫는데 계손씨가 삼환 세력의 수장 노릇을 하고 있었다. 나중에 공자가 대사구(大司寇)의 벼슬을 하게 됐을 때 가장 먼저 삼환의 성곽을 허문 것도 그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였다. 소공도 군주의 권위를 세울 기회만 엿보고 있었다. 그때 계손씨의 수장인 계평자가 닭싸움을 계기로 소공에게 죄를 지었다. 삼환 가문에 균열이 왔다고 판단한 소공은 군대를 거느리고 계손씨를 공격했으나 패했다. 소공은 제나라로 도망갔고 공자 역시 소공을 따라 제나라로 갔다. 소공이 제나라를 선택한 것은 제나라가 노나라 곁에 있었고 부유한 강대국이었기 때문이다.
공자가 제나라로 가는 길이었다. 태산(泰山)을 지나다 어떤 여인이 슬피 우는 소리를 들었다. 공자가 크게 근심하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여 제자인 자로(子路)를 보내 사연을 물었다. 여인이 대답했다. “예전에 시아버지가 호랑이에게 잡아먹혔는데, 이제 남편과 아들마저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고 말았습니다.” 자로가 물었다. “아니 그 지경이 되도록 왜 이사하지 않았습니까?” 여인이 대답했다. “그래도 이곳에는 가혹한 정치가 없기 때문입니다.” 자로가 이 말을 공자에게 전했다. 공자가 탄식하며 말했다.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구나(荷政猛於虎)!”
이때부터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는 혹독한 정치에 시달리는 백성의 고달픔을 상징하는 고사성어가 됐다. ‘태산문정(泰山問政·태산에서 정치를 묻다)’은 그 장면을 그린 작품이다. 그림 제목을 유명한 ‘가정맹어호’ 대신 ‘태산문정’으로 택한 것은 백성의 고달픔을 살피는 것이 정치의 근본이기 때문이다. 공자는 소가 끄는 수레를 타고 있고 가족을 잃은 여인은 땅바닥에 주저앉아 울고 있다. 여인의 머리 위로는 버드나무 한 그루가 위로하듯 그녀를 감싸고 있다. 버드나무는 모든 것을 다 잃은 여인을 가혹한 정치로부터 보호하는 것처럼 보인다.
‘가정맹어호’는 당(唐)대 시인 유종원(柳宗元·773~819)에게 큰 자극을 주었던 모양이다. 유종원은 ‘땅꾼이야기(抱蛇者說)’에서 공자의 ‘가정맹어호’를 인용해 세금 거두는 일의 지독함을 비판한다. 내용은 이렇다. 영주 들녘에 검은색 바탕에 흰색 무늬가 있는 기이한 뱀이 살았다. 그 뱀이 초목에 닿기만 해도 모조리 죽었고 사람이 물리면 치료할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그 뱀을 잡아 포로 만들어 약용으로 먹으면 심한 병을 치료할 수 있었다. 나라에서는 뱀 잡는 사람을 모집해 일 년에 두 마리를 조세로 대신하게 했다. 장씨라는 사람은 삼대에 걸쳐 그 일에 종사했다. 유종원이 그에게 땅꾼의 사정을 물었다.
그의 대답이 충격적이었다. 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모두 뱀에 물려 세상을 떠났고 자신도 뱀을 잡은 12년 동안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겼다고 했다. 딱한 사정을 들은 유종원이 뱀 잡는 일 대신 세금 내는 일을 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물었다. 그때 땅꾼이 대답한 내용이 바로 뱀보다 심한 세금의 혹독함이었다. 뱀 잡는 일이 아무리 고달파도 일 년에 한두 번만 조심하면 되지만 관리들에게 세금 독촉을 받는 이웃들은 일 년 내내 목숨이 위태로웠다. 그야말로 ‘가정맹어호’의 복사판이었다. 백성의 아픔을 들여다볼 줄 안 유종원은 ‘산이란 산에는 새 한 마리 날지 않고…’로 시작된 ‘강설(江雪)’을 쓴 그 유명한 천재시인이다.
‘가정맹어호’와 같은 백성들의 억울한 사연은 광해군 때 조선을 찾은 명(明)나라 장수 조도사(趙都司)의 시에서도 확인된다.
향기 맑은 맛있는 술은 천 명의 피요(淸香旨酒千人血)
가늘게 썬 좋은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일세(細切珍羞萬姓膏)
촛불 눈물 떨어질 때 백성 눈물 떨어지고(燭淚落時民淚落)
노랫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 높도다(歌聲高處怨聲高)
‘춘향전’에서 이몽룡이 변학도를 풍자해 지은 시는 위의 시를 개시(改詩)한 것이다. 어느 시대에 적용해도 하등 어색하지 않을 만큼 양반들의 횡포와 세금 착취는 백성을 괴롭히는 고질병이었다.
소공을 따라 제나라에 간 공자는 제나라 군주 경공(景公)과 접촉했다.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대답했다.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버지는 아버지다워야 하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합니다.” 다른 날 경공이 다시 공자에게 정치를 물으니 공자가 말했다. “정치의 관건은 재물을 절약하는 데 있습니다.”
경공은 기뻐하며 이계(尼谿)라는 밭을 주어 공자를 봉하려고 했다. 재상 안영(晏嬰)이 완강하게 공자의 입궐을 반대했다. ‘번잡스러운 예절만을 따지고 오만하여 자신의 주장만을 고집하기 때문에 백성에게 도움이 될 만한 사람이 못 된다’는 것이 구실이었다. 결국 경공은 공자를 만나고도 예를 묻지 않았다. 공자를 곁에 두고 싶었던 경공은 공자에게 계씨와 맹씨 중간에 해당하는 대우를 해 주었다. 그러자 위협을 느낀 제나라 대부들이 공자를 해치려고 했고 공자도 그 소식을 들었다. 할 수 없이 경공은 자신이 늙어 공자를 등용할 수 없다는 말로 공자를 내쳤다. 이에 공자는 제나라를 떠나 노나라로 돌아왔다.
안영은 왜 공자의 등용을 반대했을까. 당시 제나라는 노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웃 나라였지만 경제 규모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차이가 컸다. 내륙에 위치한 노나라는 농업이 중심이었는데 문화는 발달했으나 가난했다. 반면 산동반도(山東半島)의 긴 해안선을 끼고 있던 제나라는 활발한 상업 활동을 중심으로 풍요와 사치가 넘쳐났다. 특히 소금은 제나라에 막대한 부를 가져다 줬다. 그런데 공자가 나타나 느닷없이 절약을 들먹였다. 군주 입장에서는 절약을 강조하는 공자를 기용하고 싶었겠지만 중신들에게는 불편하고 성가신 존재였다. 안영의 반대는 곧 제나라 중신들의 생각을 대변한 것이었다.
공자는 노나라로 돌아온 뒤 관직을 얻지 못하고 학문에 전념했다. 35세부터 50세 이전까지 그는 줄곧 집에서 책을 읽고 예를 익히며 사람들을 가르쳤다. 서른에 자립한 공자는 쉰 살에 천명을 알 때까지 전혀 미혹되지 않았다.
조정육 홍익대 한국회화사 석사, 동국대 박사 수료. 성신여대 대학원, 동국대 대학원 강의. 저서 ‘그림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거침없는 그리움’ ‘꿈에 본 복숭아꽃 비바람에 떨어져’ ‘조선이 낳은 그림 천재들’ ‘우리나라 대표 그림’ ‘그림공부, 사람공부’ |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읽는 공자]불혹의 공자가 강물을 보고 생각한 것은-증점욕기 (0) | 2014.03.15 |
---|---|
[그림으로 읽는 공자]공자는 아들을 어떻게 가르쳤을까-과정시례 (0) | 2014.03.14 |
[그림으로 읽는 공자]‘클래식 매니아’ 공자, 음악을 통해 예를 배우다-방악장홍 (0) | 2014.03.12 |
[그림으로 읽는 공자]노자를 찾아가 예를 묻다-문례노담 (0) | 2014.03.11 |
[그림으로 읽는 공자]비천하였으므로 재능이 필요했다-공자성적도보 (0) | 201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