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氣칼럼니스트 847

[강천석 칼럼] 이재명 대표, 더 이상 湖南을 끌어들이지 말라

조선일보 2023. 6. 3. 03:10 국가 진로 誤判 두 번씩 ‘송곳니’ 뽑힌 독일 경험 씹어야 민주, 世紀에 한 번 있을 국가 進路 논의 참여 자격 갖추라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 대선에서 47.83%의 표를 얻었다. 호남 지역 득표율은 광주 85%, 전남 86%, 전북 83%였다. 지난주 갤럽 여론조사에서 호남 지역 민주당에 대한 호감도는 30%, 비호감(非好感)이 60%였다. 대선 지지도 50%가량이 연기로 사라졌다. 우리는 해야 할 일을 제때 하지 않은 대통령과 5년을 지냈다. 국회 내 절대다수 의석을 확보한 대통령 당은 언제든 법률로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보다 일하기 좋은 조건은 없다. 당파(黨派)를 넘어선 국가에 대한 사명감 같은 건 기대하지 않았다. 해야 할 일을 제때 하지 않..

[김형석 칼럼]정당정치의 기대와 희망까지 사라지고 있다

동아일보 2023. 6. 2. 03:04 수정 2023. 6. 2. 04:28 국가 질서 파괴해도 법적 책임 묻기 힘든 현실 文 정부 병폐, 치유하기보다 부추기는 민주당 反민주적 행태 계승하면 비판 피할 수 없다 자주 듣게 되는 이야기가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얼마 안 되는 경제적 부정으로 감옥에 갔는데 그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천문학적 손실을 국가에 남겨 준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자신의 업적이 성공적이었다고 국민의 칭찬을 끌어내려 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 경우도 그렇다. 최모 여인과 가족에 대한 특혜와 작은 비리로 국민의 질타를 받고 수감 생활을 했다. 그에 비하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였고 당 대표가 된 이재명이 경기도지사 재임 기간에 보여 준 사회경제적 부조리는 견줄 바가 아닌데, 나는 단돈..

'한심한 민주당, 선동도 과학 공부 쫌 하고 하라 [정기수 칼럼]

데일리안 2023. 6. 2. 04:05 문재인 정부 보고서 “문제없다”라는 결론 읽어 봤나? ‘뇌송송 구멍탁’ 광우병 괴담 난동 향수에 젖어 후쿠시마 오염수, 이중 희석 후 오염도 “1조분의 1” 해류도 한국으로 거의 흘러들지 않는 흐름... 이재명의 민주당이 광우병 공포 장사에 다시 나섰다. 거리에 ‘우리 어민 다 죽는다’라는 플래카드들이 내걸렸다. 대표 본인의 셀 수 없는 재판, 송영길의 돈 봉투와 김남국의 코인 사건 수사 등으로 몰락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찾은 돌파구다. 15년 전에 해 먹은 ‘뇌송송 구멍탁’ 광우병의 짜릿한 맛이 너무나 그리운 그들이다. 민주당 당대표 이재명은 공부해 변호사를 한 사람이다. 그런데 ‘방사능 테러’라는 말로 공포를 조장하면 국민들이 벌벌 떨고, “윤석열 물러나라”라..

[김형석의 100년 산책] 100세 인생의 결론 “최선을 다해라, 더 큰 기회가 온다”

중앙일보 2023. 5. 26. 00:55 수정 2023. 5. 26. 05:38 「 인간 태어난 목적은 일하는 것 더 많은 사람들 행복하게 해야 출세나 진급이 목적 될 수 없어 욕심 앞서면 끝까지 가지 못해 정권 잡으려고 공직자 됐는가 정신 빈곤하면 리더 자격 없어 」 나는 슬하에 많은 가족을 두었다. 또 제자 중에는 큰 기업을 운영하는 이들도 있다. 그들에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성공해서 부자가 되었더라도 사생활과 가정 경제는 중산층 수준이 좋다. 기업은 기업대로 독립된 공익기관이고 개인 생활은 정신적 가치가 중요하니까, 경제적 관심이나 부담에 빠지지 말라고 권한다. 그러나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라. 더 소중한 일을 하게 된다’는 체험을 한 것은 나의 신앙적 인생관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중학교..

[김순덕 칼럼]6·25 종군 여기자의 외침 “한국은 자명종이다”

동아일보 2023. 5. 25. 00:00 1951년 첫 여성 퓰리처 수상자 히긴스 “전쟁 덕에 미군 약체 알려져 철저히 무장” 지금도 한국은 전체주의·북핵에 맞서 자유세계 시민 일깨우는 자명종 역할 이달 초 발표된 2023년 퓰리처상은 단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도에 모아졌다. 러시아의 민간인 학살을 고발한 AP 사진팀이 대상 격인 공공서비스 부문상을 수상했다. 뉴욕타임스는 부차에서 자행된 러시아 공수부대의 ‘전쟁 범죄’를 파헤쳐 국제보도상을 받았다. 6·25전쟁 중이던 1951년, 퓰리처상의 관심은 한반도였다. 국제보도상 수상자 여섯 명 모두 한국전쟁을 보도한 기자들이다. 그중 뉴욕 헤럴드 트리뷴의 도쿄 특파원 마거릿 히긴스는 6·25 발발 이틀 후 서울로 날아와 한강철교 폭파부터 인천상륙작전,..

[강천석 칼럼] 우리가 잃어버린 ‘基本’에 대하여

중앙일보 2023. 5. 20. 03:11 ‘은행 돈 빌리지 않는다’ 어머니 한마디 품고 인플레 잡은 美 볼커 尹대통령은 權限이라는 단어를 責任이란 뜻으로 바꿔 읽어야 과거엔 우리 곁에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져버린 것과 다시 만나면 반갑다. 때론 뭉클하기도 하다. 그런 것 가운데 하나가 ‘기본(基本)’이다. 모든 ‘기본’에는 공통된 요소가 있다. ‘단순(simple)하다’는 것이다. 그가 FRB 의장에 취임한 1970년대 말 물가상승률이 13%에 달했다. 볼커는 대통령·의회 압력과 대형 금융회사들 로비를 물리치고 꿋꿋하게 반(反)인플레이션 정책을 밀고나가 물가를 3%대로 잡았다. 볼커는 공직에 있던 아버지에게서 ‘권한(權限)’이란 단어는 ‘책임(責任)’이라는 뜻으로 바꿔 읽어야 한다고 배웠다. 윤석열 대통..

[진중권 칼럼] 탈진실 이후는 탈윤리?

중앙일보 2023. 5. 18. 00:58 수정 2023. 5. 18. 06:15 「 ‘공약의 부담’마저 외면한 민주당 ‘쇄신 의총’선 도덕성 포기 발언도 총 15년 집권하며 기득권층 변질 윤리 기준마저 저버리는 단계로 」 “갈수록 확대되는 부동산, 금융 등 자산 불평등 심화를 막고 공정사회를 실현한다.” 민주당의 강령에 나오는 문장이다. ‘강령’이란 그 당의 정치적 정체성을 규정한 문서다. 어쨌든 이 문서에 따르면 민주당의 정치인들은 모름지기 부동산이나 금융을 통한 자산 불평등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이어야 한다. 입으로는 ‘자산 불평등을 막아 성실히 일만 해도 먹고 사는 세상을 만들겠다’던 이들이 저 혼자 사다리의 가장 높은 쪽에 오르겠다고 자산 불평등을 더 심화시키는 일만 골라서 해 왔다. 하긴, 남의..

[김형석의 100년 산책] 지금도 절대 잊을 수 없는 ‘그 날의 그 꿈’ 셋

중앙일보 2023. 5. 12. 00:52 수정 2023. 5. 12. 01:05 「 8·15 전날 꿈에 본 일본인 시신 큰 태양이 동쪽으로 저물기도 1950년 첫날에 본 공산군 행진 소련 스탈린의 초상화도 보여 1960년 4월 10일의 적막한 세상 붉은 피 흘리는 예수님 나타나 」 25세 때부터 평생 지켜온 교육자 자리 한때는 이승만에 대한 원한도 있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마음은 더 아팠을 것이다. 조국을 위해 생애를 바쳤던 그의 마음이야 얼마나 아팠겠는가. 이승만 주변 범죄자들의 엄벌을 바라는 마음도 컸다. 그 아픔을 모르는 지도자나 공직자를 배제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국민과 아픔을 함께하는 지도자들과 아픈 마음을 내일의 희망으로 바꾸는 의무를 감당해야 한다. https://v.daum.ne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