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세계]중국의 '기괴한 건물들' 경향신문 2016.02.23. 17:12 지난 21일 중국 국무원이 이색적인 ‘경고’를 발령했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이어질 13차 5개년 계획에 따라 ‘도시계획 건설관리 업무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면서, 건물을 지을 때 실용·경제·녹색·미관 등 4가지 요소를 지키라는 방침을 내린 것이다. 중국 언..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6.02.24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98] 단돈 35달러 '나이키' 로고 (출처-조선닷컴 2016.02.20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산업디자인) 회사 로고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나? 스타트업 창업자의 한결같은 고민이다. 나이키처럼 세계 굴지의 기업도 스타트업 시절 같은 문제에 봉착했다. 1971년 포틀랜드주립대학교 육상코치 빌 보어먼과 회계학을 전공하던 육..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6.02.20
불국사·종묘·창덕궁…이런 비밀이 숨어있었네 [중앙일보] 입력 2016.02.12 01:26 배병우의 ‘창덕궁 후원’. [사진 삼성미술관 리움] 우리 옛 건축을 이렇게 톺아본 건 건축가 김원씨 말마따나 “해방 이후 처음”이다. ‘한국건축예찬-땅의 깨달음’전은 건축이 인문사회학이자 인간학임을 보여준다. 지난해 11월 서울 이태원로 삼성미술..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6.02.13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97] 튀지 않아 눈에 띄는 '거대한 거울' (출처-조선일보 2016.02.05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산업디자인)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 산업디자인 200 클래런던(Clarendon), 디자이너 헨리 코브(Henry Cobb), 높이 241m(62층), 연면적 206만 제곱피트(약 5만8000평), 준공 1976년. 미국 보스턴에는 거대한 거울 같은 고층건물이 있다. 사물이 잘 비..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6.02.05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96] 아이야, 환한 눈으로 소망을 밝히렴 (출처-조선일보 2016.01.18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산업디자인) . 라문 아물레또 LED 스탠드. 디자이너 알렉산드로 멘디니(Alexandro Mendini), 200㎜(폭)×655㎜(길이)×500㎜(높이). 무게 2.6㎏, 2010년 요즘엔 어느 가정에서나 탁상용 전기 스탠드를 한 두 개쯤 사용한다. 책상에서 공부나 작업을 할 ..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6.01.18
동룡 사는 '최규하 가옥'부터 안옥윤이 머물던 '백인제 가옥'까지 영화·드라마 빛낸 집 [중앙일보] 입력 2016.01.08 19:17 "오토바이 한 번은 용서하지만 두 번은 용서 안해" 어머니의 경고를 들으며 묵묵히 밥을 떠넘기는 동룡. 지난 성탄절에 방영된 ‘응답하라 1988’의 한 장면이다. 미역국에 쌀밥이 차려진 식탁과 두 모자(母子)가 앉은 의자, 그 옆으로 보이는 짙은 고동색 원목 ..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6.01.09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95] 기쁨의 눈물 넘치는 새해를 (출처-조선일보 2016.01.01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산업디자인)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얼굴(Face with tears of Joy), 2010년 10월 유니코드 협회에 의해 ‘Unicode 6.0’ 표준으로 제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가 확산되면서 이모티콘 사용도 늘었다. '정서(emotion)'와 '상징(icon)'의 합성어인 이모티..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6.01.01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94] 장인의 손길 닿은 영롱한 유리 트리 (출처-조선일보 2015.12.19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산업디자인) 성탄절을 앞두고 지구촌에는 기발하게 디자인된 크리스마스 트리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호주 수도 캔버라에서는 51만8000개가 넘는 LED 전구로 이루어진 철제 트리(높이 22m)가 불을 밝혀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는 소식이다. .. 文學,藝術/디자인·건축 2015.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