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0.05.18 김영나 서울대교수·서양미술사)
유럽에서 해외여행의 체험이 젊은이들의 교육에 중요하다는 인식이 시작된 것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게 된 18세기부터였다.
여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이 이탈리아에서 기념품으로 흔히 사온 것은 유명 도시 및 유적을 사실
그대로 세밀하게 그린 '베두테(vedute·情景畵)' 회화였다.
특히 카날레토(1697~1768)는 영국 관광객들이 가장 좋아했던 베두테 화가로, '산 마르코 광장'(·1740년경)에서
그는 베네치아의 유명한 명소를 반짝이는 광선과 색채로 거의 마술처럼 똑같이 그려내는 능숙한 기술을 보인다.
그랜드 투어의 여파는 영국 내에서 국내여행의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랜드 투어의 여파는 영국 내에서 국내여행의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웨일스나 스코틀랜드 등지의 자연을 소개하는 여행안내서나 가보지 못한 지방의 경치를 그림으로 소개하는
'그림으로 보는 여행' 류의 책들이 출간되었고 그런 곳의 풍경을 그린 수채화가 팔리기 시작했다.
수채화는 화가들이 여행하면서 쉽게 그릴 수 있었고 또 그림 가격도 그리 비싸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묘한 농담의 조절로 신선한 대기와 광선을 숙달되게 그린, 투명하고 생생한 풍경화들이 제작되어 인기를 얻자 곧 아마추어
수채화가들도 전문 화가들처럼 여행지의 풍경을 화폭에 담기 시작했다.
19세기 초에 들어서서 영국에는 수채화 협회가 구성되었고, 수채화를 그리는 화가들이 급속히 많아졌다.
19세기 초에 들어서서 영국에는 수채화 협회가 구성되었고, 수채화를 그리는 화가들이 급속히 많아졌다.
수채화는 젠틀맨이 갖춰야 할 교양의 하나이기도 했다. 이런 전통은 아직도 영국사회에 남아 있는 것 같다.
처칠 경이나 찰스 왕세자의 수채화 솜씨는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카날레토, '산 마르코 광장'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근영 기자의 오늘 미술관] 세잔의 산 (0) | 2015.03.13 |
---|---|
[일사일언] 동네 친구 '틈꽃' (0) | 2015.03.12 |
[신문은 의사선생님] [김상윤 교수의 뇌 이야기] 치매와 싸운 화, 그 치열한 투쟁의 기록 (0) | 2015.03.10 |
반 고흐의 '밤의 카페테라스'가 예수와 열 두 제자를 상징? (0) | 2015.03.10 |
[그림과 도시] 전쟁의 상처 같던 잿빛 하늘… 런던의 푸른 봄, 소리 없이 찾아오다 (0) | 201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