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5.04.18 도쿄=김수혜 특파원)
"사죄, 부끄러운 것 아냐… 세세한 사실 어떻든 간에 침략 사실 변하지 않아"
"상대 국가가 '깨끗이 풀린 건 아니지만 그만큼 사죄를 해오니, 알겠습니다. 이제 됐어요'라고
말할 때까지 계속 사죄하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사죄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세세한 사실이 어떻든 간에, 일본이 타국을 침략했다는 큰 줄거리는 사실이니까."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는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사진)가 17일 도쿄신문과
단독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최근 일본 사회 내부에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벌어진 식민 지배나 아시아 침략에 대해,
일본이 도대체 언제까지 사과해야 하는가'라는 불만이 일고 있는 데 대해,
'상대가 납득할 때까지'라는 답을 내놓은 것이다.
이날 도쿄신문 인터뷰에서 하루키는 최근 한·중·일 관계에 대해
"지금 동아시아엔 거대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루키는 "일본이 경제대국이고 중국도 한국도 개발도상국이던 시절에는 이런 문제가 억눌려 있었지만,
중국과 한국의 국력이 커진 뒤 이런 구조가 무너지고, 봉인되어 있던 문제가 분출되게 됐다"고 했다.
그는 "상대적으로 힘이 줄어든 일본으로선 자신감 상실 같은 것이 있어,
좀처럼 그런 전개를 솔직히 받아들이지 못한다"면서,
세 나라 사이의 갈등이 진정되기 전에 "분명히 파란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동아시아 문화권에는 아주 큰 가능성이 있고, 시장으로서도 매우 큰 양질의 시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뒤 "
서로 으르렁대서 좋을 게 없다"고 했다.
=============================================================================
[뉴스 보며 책 읽기]한국 남자들, 하루키처럼 '아베따위'라고 말할 수 없다
(출처조선일보 2015.02.09 김태훈 기자)
- “아베따위가…” 또 돌직구 던진 하루키(1월30일자 조선일보 국제면)
-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이 보도가 나가자 조선닷컴 댓글에 하루키에 대한 찬사가 이어졌습니다.
그런데, 비판의 아귀가 잘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루키가 이 글에서 비판한 것은
여성에 대한 주제라면, 하루키에겐 “아베 따위가”라고 말할 자격 충분히 있습니다.
주인공 가후쿠는 음주운전을 적발당해 면허가 정지되자 임시 운전기사를 고용합니다.
운전 잘 하고, 남이 하는 말에 귀기울려 주고, 조언에 상처까지 보듬어주는 여자. 하루키의 여성은 이렇게 당차고 지혜롭고
또다른 수록작 ‘여자없는 남자들’에서 하루키는 마침내 이렇게 선언합니다.
일본은 세계 3대 경제대국이지만 여성 정책만은 후진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집
- '여자 없는 남자들'
눈을 돌려 우리나라 현실을 봅니다.
대한민국은 국회의원이 육군 하사를 ‘하사 아가씨’라고 부르는 나라입니다.
하루키가 “한국 남자들 따위가”라고 한다면 뭐라고 항변할 수 있을까요.
'人文,社會科學 > 책·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속으로] 삶의 마지막 순간, 누구와 보내고 싶나 (0) | 2015.04.20 |
---|---|
[인터뷰] 格物致知 : 나무의 성질 파악해 톱질하는 것 이한수 기자 (0) | 2015.04.18 |
[책과 삶]보고 싶은 그 사람.. 뇌를 연결해 꿈에서 만난다 (0) | 2015.04.12 |
[Saturday] 외국어 뛰어난 '이화' 출신 … 사회주의 소신, 간첩활동은 '글쎄' (0) | 2015.04.11 |
[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읽어라, 청춘] <37> 에밀 아자르 ‘자기 앞의 生’ (0) | 201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