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5.05.29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낙화 분신이 억만 천만 틀림없이 봄의 신이 바람 불고 비가 내려 절대(絶代)의 가인이라 | 暮春賦落花 分身散去億千忙(분신산거억천망) 依舊枝株影木强(의구지주영목강)
先敎大地盡鋪香(선교대지진포향)
燕燕鸎鸎遞踽凉(연연앵앵체우량)
有誰才子錦爲腸(유수재자금위장) |
화려했던 꽃의 향연도 끝날 무렵 우념재(雨念齋) 이봉환(李鳳煥·?~1770)이 명사들과 함께 낙화를 노래했다.
꽃나무에서는 분신이 수도 없이 떨어진다.
그것은 지상을 떠나려 하는 봄의 신을 배웅하고자 뿌린 향이자 깔아놓은 양탄자다.
비가 내리면 피었다가 바람 불면 떨어지는 것이 그의 인생, 제비 날고 꾀꼬리 울건마는 쓸쓸히 사라져야 한다.
그러나 꽃은 져도 꽃이다. 그 절대가인(絶代佳人)이 사라지는 길에 그대로 보낼 수는 없다.
재사(才士) 중에서 재사가 애도문을 써야 어울린다.
평소 가슴 깊숙이 감춰두었던 향기로운 언어를 꺼내 쓰고 싶다.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世說新語] [317] 시지인길(尸至人吉) (0) | 2015.06.03 |
---|---|
[정민의 세설신어] [165] 심원의마(心猿意馬) (0) | 2015.05.31 |
[정민의 세설신어] [164] 끽휴시복 (喫虧是福) (0) | 2015.05.25 |
[가슴으로 읽는 한시] 한국통사를 읽고 (0) | 2015.05.21 |
[정민의 世說新語] [315] 근신수마 (謹身數馬) (0) | 201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