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5.06.05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 | 딱따구리 산 늙은이 한밤중에 지게문 열고서 峽行雜絶 山翁夜推戶(산옹야추호) 서울을 떠나 강원도 일대를 여행할 때 썼다. 산골마을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몇 편의 시로 묘사했는데 그중 하나다. 매우 짧은 순간 눈앞을 스쳐 지나간 풍경이다. 한밤중 노인이 방문을 열고 마당에 나와 사방을 휘 둘러보고서 다시 방으로 들어간다. 그가 마당을 나온 이유는 딱따구리 때문이다.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는 소리를 듣고서 이웃 마을에 사는 친구가 찾아와 문을 두드리나 보다 착각하여 서둘러 나왔다. 그러나 인기척은커녕 사위(四圍)가 고요하다. 에이! 오늘도 저 딱따구리란 놈에게 속았다. 허탈하게도 늘 저 놈에게 속는 것은 사람이 그리운 때문이다. 밤하늘의 한없는 고요는 어디선가 나를 찾아올 사람을 기다리게 만든다. |
<각주 : 지게문>
옛날식 가옥에서, 마루와 방 사이의 문이나 부엌의 바깥문.
흔히 돌쩌귀를 달아 여닫는 문으로 안팎을 두꺼운 종이로 싸서 바른다.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世說新語] [318] 육회불추(六悔不追) (0) | 2015.06.10 |
---|---|
[정민의 세설신어] [166] 풍중낙엽 (風中落葉) (0) | 2015.06.07 |
[정민의 世說新語] [317] 시지인길(尸至人吉) (0) | 2015.06.03 |
[정민의 세설신어] [165] 심원의마(心猿意馬) (0) | 2015.05.31 |
[가슴으로 읽는 한시] 낙화 (0) | 201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