其他/韓.日수교50년

<연합시론> 일본과의 '역사전쟁'서 패하지 않으려면

바람아님 2015. 9. 14. 10:04
연합뉴스 2015-9-13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기록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는 작업이 본격 추진된다고 한다. 지난달 31일 마감된 문화재청의 '2016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대상 기록물 공모'에 접수된 등재신청 후보 12개 중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 33만6천797건이 포함됐다는 것이다. 이 기록물들은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2004년 이후 11년간 생산·수집한 강제동원 관련 기록을 총망라한 것이다. 종류별로도 피해조사서 22만7천141건, 지원금 지급심사서 10만5천431건, 구술자료 2천525건, 사진자료 1천226건 등 방대한 분량이라고 한다. 일본이 패전 직전 전쟁에 대한 책임 추궁을 피하려고 공문서를 대량 소각했고, 세월이 지나면서 남은 자료들마저 훼손, 멸실됐다는 점에서 이 자료들은 후대에 일제 강점의 역사적 진실을 전할 수 있는 유일한 증거일 것이다.

일본 정부는 '징용은 강제동원이 아니다'는 주장을 세계 각국에 있는 자국 대사관과 총영사관 등을 통해 홍보하기로 방침을 정했으며, 일부 우익세력은 일본 각지에 설치된 징용 조선인 추도비의 철거나 '강제연행' 문구의 삭제마저 요구하고 있다.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이 징용된 산업시설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자신들의 산업화 유산이라는 점만 강조할 뿐 강제 동원된 조선인의 그림자는 아예 지워버리고 있다. 전후 70년을 맞아서도 원폭 피해 등 자신들의 피해 사실만 부각할 뿐 타국에 끼친 손해와 고통은 외면하는 것이 그들이다. 이들의 편향된 역사관에 맞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전하는 것이다. 역사를 왜곡하고 미화하려는 측과 역사적 사실을 지키고 보존하려는 세력 간의 일종의 '역사전쟁'인 셈이다. 특히 이 기록물들은 일본은 물론 남사할린, 중국, 만주, 태평양, 동남아시아, 대만 등 조선인이 동원된 아시아 전역에서 자행된 일제의 만행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일제의 아시아 침략사에도 소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될 충분한 이유와 명분이 있다.


이 기록물들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다 해도 역사 유적과 달리 기록물 자체가 갖는 한계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은 보완해야 할 과제다. 이들을 제대로 전시할 공간을 확보해 한눈에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아울러 징용, 징병, 위안부 강제 동원 등에 대한 많은 기록이 일본에 의해 폐기된 점을 고려할 때, 아직 생존한 피해자들의 증언과 녹취록, 동영상 등을 더 많이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들의 생생한 증언이야말로 일제 강점기 역사에 관한 가장 고귀한 기록유산이기 때문이다. 피해자 대부분이 이미 세상을 떴고, 남은 분들 역시 80세 이상의 고령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의 피해 역사를 더욱 생생하게 복원할 수 있는 시간 또한 얼마 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