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팀 알퍼의 한국 일기] 유럽 팬들마저 끌어당기는 K팝의 '팬덤'

바람아님 2019. 1. 1. 09:48

(조선일보 2019.01.01 팀 알퍼 칼럼니스트)


지구 상 어디서 災害가 일어나면 한국 팬클럽은 가수 이름으로 구호 물품을 보내고 움직인다
경쟁·고독에 지친 韓 젊은이들이 온라인서 되살린 공동체 의식에 유럽 팬들도 공감하며 응원에 참여



팀 알퍼 칼럼니스트팀 알퍼 칼럼니스트


만약 수년 전 나의 모국인 영국 사람들에게 '어느 나라에서 제2의 비틀스가 탄생할 것인지

예상해보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그 누구도 '한국'이라는 대답을 떠올리지 않았을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영국 사람 대부분은 한국이 세계 지도에서 어디쯤 있는지 잘 모른다.

우스꽝스러운 머리 모양을 한 북쪽 지도자와 핵·미사일에 위협받고 있다는 것과 프리미어

리그(EPL)에서 뛰고 있는 몇몇 한국 선수를 제외하고는 한국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다.


하지만 최근 보도되는 방탄소년단(BTS)에 관한 기사들은 사실이다.

BTS는 실제로 미국과 유럽의 간판 토크쇼에도 출연했다.

BTS는 인종을 불문하고 함성을 지르는 십대 팬들을 북반구 전역에 만들었다.

이런 이유로 유럽 전역의 언론에서는 그들에게 '제2의 비틀스'라는 별명을 붙였다.


많은 언론사가 BTS를 제2의 비틀스로 언급할 때 그들은 장발을 하고 시타르를 연주하며 히피 문화의 선봉에

서거나 '렛 잇 비(Let It Be)'와 '헤이 주드(Hey Jude)'를 불렀던 비틀스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둥근 머리에 말쑥한 슈트를 입고 '아이 원 투 홀드 유어 핸드(I Want to Hold Your Hand)'를 부르며 소녀들이

기절할 때까지 비명을 지르게 만들었던 초기의 비틀스를 말하는 것이다.

무대 위의 작은 손짓 한 번만으로도 팬들을 집단적인 열광 상태로 빠뜨리던 가수는 비틀스뿐만이 아니었다.

엘비스 프레슬리나 재키 월슨 역시 노래 중간에 살짝 골반을 비틀기만 해도 수많은 여성 팬이 바닥에

주저앉았다는 이야기는 한 번쯤 들었을 것이다.

내가 한국에서 살아온 12년 동안 언제나 한국 팬들의 열정과 지극정성에 놀랐다.

지구 상 어디엔가 참혹한 자연재해가 일어나면 한국의 팬클럽은 자기가 좋아하는 가수들의 이름으로 쌀이나

구호물품을 보내고 그 어느 구조단보다 빨리 움직일 것이라는 것을 나는 확신한다. 한국의 연예기획사

직원들은 한약부터 생일 케이크까지 팬들이 보낸 선물들을 정리하는 데 아마도 적지 않은 시간을 보낼 것이다.


[팀 알퍼의 한국 일기] 유럽 팬들마저 끌어당기는 K팝의 '팬덤'
/일러스트=이철원


서울 강남의 지하철역을 걸어 나오면 아이돌 스타의 대형 사진과 생일 축하 메시지로 가득한 광고판을 여럿 볼 수 있다.

팬들의 사비(私費)로 제작한 이런 광고판에 가까이 다가가면 그 어떠한 난관도 자신들의 사랑을 꺾지 못할 것이라는

뜨거운 맹세가 적힌 수많은 포스트잇이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팬들은 온라인 포럼을 개최해서 어떻게 하면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새로운 앨범이 메이저 차트의 정상에

오를 수 있을지 모색한다.


유럽 사람들에게 이런 열정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우리는 이런 종류의 팬덤을 결코 따라 할 수 없다.

K팝은 유럽 팬들을 자석과 같은 힘으로 끌어당기고 있다.

유럽 팬들은 다른 사람들과 힘을 합쳐서 아이돌 그룹을 응원하는 것이 비록 온라인상에서지만

얼마나 흥미진진한지에 대해 조금씩 깨닫는 중이다.

유튜브에서 K팝 가수들의 뮤직 비디오에 달린 댓글들을 한번 검색해 보라.

마르크스는 '종교는 아편과도 같다'라는 유명한 문구를 남겼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종교도 K팝의 팬덤보다 강력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르크스조차 K팝의 팬들이 인기 그룹의 이름으로 캄보디아에 있는 작은 마을의 학교를 후원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한국은 불과 수십 년 사이에 눈에 띄지 않는 변두리 국가에서 글로벌 파워를 지닌 부국(富國)으로 탈바꿈했다.

하지만 이런 변화를 겪으며 전통적인 한국의 삶의 방식이 완전히 파괴되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치렀다.

팬덤은 한국적인 솔(soul)이 갈구하는 공동체 의식을 대변한다.

팬덤은 팬이 아닌 사람들에게는 비이성적으로 보이겠지만, 사실 팬덤은 수천년 동안 간직해온 한국의 전통적인 가치가

흔들리고 도전받는 현상에 대한 반응일 수도 있다.


서양식의 자본주의와 도시 생활은 한국의 젊은이들을 개인주의, 경쟁, 고독으로 끌고 갔다.

하지만 팬덤은 고락(苦樂)을 함께 나누던 오래전 한국의 공동체적 삶으로 되돌려 놓고 있다.

이런 팬 카페들은 사이버 공간에만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팬덤은 허구가 아니라 실체에 가깝다.

그곳의 멤버들은 대화와 경험, 감정을 공유하며 20세기 실존주의 철학자들이

'진실된' 행동이라고 부를 만한 행동들을 함께한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진심으로 그들을 경외한다. 


 K팝의 팬덤 ?


팬덤 [ fandom ]


요약- 특정한 인물이나 분야를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또는 그러한 문화현상.
 
'광신자'를 뜻하는 '퍼내틱(fanatic)'의 팬(fan)과 '영지(領地)·나라' 등을 뜻하는 접미사 '덤(-dom)'의 합성어이다.

'퍼내틱'은 라틴어 '파나티쿠스(fanaticus)'에서 유래한 말로, 교회에 헌신적으로 봉사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후에 특정한 인물이나 분야를 열성적으로 좋아하거나 몰입하여 그 속에 빠져드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팬덤은 어떤 대중적인 특정 인물이나 분야에 지나치게 편향된 사람들을 하나의 큰 틀로 묶어 정의한

개념이다. 텔레비전의 보급과 함께 대중문화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현상의 하나로, 팬덤이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팬덤문화라는 말이 탄생하였다.


또한 특정 연예인을 위한 팬클럽이 생기면서 팬클럽 사이에 집단충돌이 일어나고,

특정 연예인을 상대로 한 스토킹은 물론, 사이버테러와 같은 부정적 현상도 많아졌다.

일부에서는 이를 팬덤현상이라 하여 하위문화로 취급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등장했는데, 가수 조용필의 '오빠부대'가 한국 팬덤의 시초이다.

이어 가수 서태지가 청소년의 우상으로 떠오르면서 1990년대의 팬덤문화를 낳았다. 2000년을 전후해서는

수많은 팬클럽이 등장하면서 한국 청소년 문화를 팬덤문화로 보는 학자들까지 생겨났다.


사회학자나 심리학자는 팬덤을 사회적 변화에 따른 대중문화의 산물로 보고, 여러 종류의 팬덤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부정적인 현상과 편견만 없애면 건전한 팬덤문화가 정착될 것으로 보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팬덤 [fandom] (두산백과)


블로그내 관련 게시물 :


['코리안 쿨' 제3 한류 뜬다] 해외 학자들, 작가의 시선   (조선일보 2016.02.06)
사그라든다던 韓流, 서양문화에 싫증난 세계인 감성 잡아 
해외 학자들이 본 '韓流 지속' 비결
유튜브·SNS 통해 한류팬 결속
K드라마→K뷰티→K패션 등 끝없이 파생되며 매년 성장세


"역설적이지만 北의 존재, 韓流에 드라마틱하게 기여"   (조선일보 2016.02.06)
['코리안 쿨' 제3 한류 뜬다] [1] '코리안 쿨' 저자 유니 홍
북한 전체주의 정권 상대로 승리하는 한국의 모습 인상적
국가가 쿨하다는 평가받으면 그들의 모든것 마법처럼 보여



[북리뷰] 코리안 쿨(Korean Cool) 서평 보기



코리안 쿨 = Korean cool :

세계를 사로잡은 대중문화 강국 '코리아' 탄생기
저자: 유니 홍/ 정미현/ 원더박스/ 2015/ 319 p
331.53-ㅎ667ㅋ/ [정독]인사자실/ [강서]2층









Kool! "코리아는 멋진 나라"… K팝에 열광하던 팬들, 이젠 '대한민국 스타일'에 빠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