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앞 도로를 모두 걷어내 언제든 걸어서 진입할 수 있다. 그 앞엔 3~4m 깊이로 지하광장이 조성되고, 편하게 지하철로 연결된다.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은 세종문화회관 쪽으로 옮겨 북악산까지 시야가 트인다-.
[중앙일보]
2019.01.21 10:00
서울시, 설계 당선작 ‘깊은 표면’ 공개
지상은 비우고, 지하엔 이벤트·문화공간
두 동상은 세종회관 옆, 정부청사 앞으로
월대·육조거리 복원해 역사성 되살리고
시청~동대문까지 4㎞ 지하보행길 조성
1040억원 투입해 2021년 완공 예정
서울시가 21일 발표한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모습이다. 이날 서울시는 국제공모 당선작으로 ‘깊은 표면(Deep Surface) : 과거와 미래를 깨우다’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CA조경과 김영민 서울시립대 교수, ㈜유신, 선인터라인건축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 작품이다.
당선작은 지상은 ‘비우면서’ 지하는 ‘채운 게’ 주요 특징이다. 세종문화회관 앞쪽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전체 규모가 6만9300㎡로, 기존보다 3.7배로 넓어진다. 지상은 경복궁 앞 ‘역사광장’(약 3만6000㎡), 세종문화회관 앞 ‘시민광장’(약 2만4000㎡)으로 나뉜다.
지상엔 육조거리와 월대(月臺·궁전 건물 앞에 놓는 넓은 단)를 복원해 서울의 역사성을 되찾는데 초점을 맞춘다. 1395년 정도전에 의해 세종대로가 건설될 당시 이곳엔 육조 관아가 있었다. 또 일제강점기 때 훼손됐던 광화문 앞 월대를 복원해 경복궁의 위용을 되살린다. 정부서울청사 별관 앞 세종로공원 부지엔 ‘클래식 콘서트홀’ 건립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 설계 당선작 ‘깊은 표면’ 공개
지상은 비우고, 지하엔 이벤트·문화공간
두 동상은 세종회관 옆, 정부청사 앞으로
월대·육조거리 복원해 역사성 되살리고
시청~동대문까지 4㎞ 지하보행길 조성
1040억원 투입해 2021년 완공 예정
서울시가 21일 발표한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모습이다. 이날 서울시는 국제공모 당선작으로 ‘깊은 표면(Deep Surface) : 과거와 미래를 깨우다’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CA조경과 김영민 서울시립대 교수, ㈜유신, 선인터라인건축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 작품이다.
당선작은 지상은 ‘비우면서’ 지하는 ‘채운 게’ 주요 특징이다. 세종문화회관 앞쪽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전체 규모가 6만9300㎡로, 기존보다 3.7배로 넓어진다. 지상은 경복궁 앞 ‘역사광장’(약 3만6000㎡), 세종문화회관 앞 ‘시민광장’(약 2만4000㎡)으로 나뉜다.
지상엔 육조거리와 월대(月臺·궁전 건물 앞에 놓는 넓은 단)를 복원해 서울의 역사성을 되찾는데 초점을 맞춘다. 1395년 정도전에 의해 세종대로가 건설될 당시 이곳엔 육조 관아가 있었다. 또 일제강점기 때 훼손됐던 광화문 앞 월대를 복원해 경복궁의 위용을 되살린다. 정부서울청사 별관 앞 세종로공원 부지엔 ‘클래식 콘서트홀’ 건립을 검토 중이다.
그동안 광화문광장의 상징으로 여겨지던 이순신·세종대왕 동상은 각각 세종문화회관 옆과 조선시대 군무(軍務)를 관장하던 삼군부 터(정부종합청사 앞)로 옮기는 방안이 제안됐다. 서울시는 시민 여론을 수렴해 동상 이전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지하광장은 자연스럽게 햇빛이 스며들게 시공하는 썬큰(sunken) 구조로 지상과 연결된다. 역사광장 초입부터 시작해 지하철역까지 이어진다. 이곳에선 수시로 콘서트·전시회가 열린다. 세종‧충무공이야기~광화문역~시청역 등 세 곳으로 분리됐던 지하 구간은 하나로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광화문~시청~을지로~동대문에 이르는 4㎞ 구간에 ‘지하도시’가 생기는 셈이다.
이번 공모는 지난해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발표한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계획’에 따른 것이다. 국내외 70개 팀이 응모했으며, 심사는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도미니크 페로(프랑스), 아드리안 구즈(네덜란드) 등 전문가 7명이 맡았다. 승효상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지상공간을 비워 강력한 역사적 축을 형성하면서 지하공간을 긴밀하게 연결했다”며 “현재 ‘교통섬’ 같은 광화문광장이 주변과 밀접하게 연결돼 서울을 새롭게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고 평가했다.
서울시는 올해 안으로 설계를 마무리하고 2021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각각 669억원, 371억원을 부담해 총 1040억원이 투입된다.
지하광장은 자연스럽게 햇빛이 스며들게 시공하는 썬큰(sunken) 구조로 지상과 연결된다. 역사광장 초입부터 시작해 지하철역까지 이어진다. 이곳에선 수시로 콘서트·전시회가 열린다. 세종‧충무공이야기~광화문역~시청역 등 세 곳으로 분리됐던 지하 구간은 하나로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광화문~시청~을지로~동대문에 이르는 4㎞ 구간에 ‘지하도시’가 생기는 셈이다.
이번 공모는 지난해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발표한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계획’에 따른 것이다. 국내외 70개 팀이 응모했으며, 심사는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도미니크 페로(프랑스), 아드리안 구즈(네덜란드) 등 전문가 7명이 맡았다. 승효상 심사위원장은 “당선작은 지상공간을 비워 강력한 역사적 축을 형성하면서 지하공간을 긴밀하게 연결했다”며 “현재 ‘교통섬’ 같은 광화문광장이 주변과 밀접하게 연결돼 서울을 새롭게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고 평가했다.
서울시는 올해 안으로 설계를 마무리하고 2021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각각 669억원, 371억원을 부담해 총 1040억원이 투입된다.
한편 기존 왕복 10차선인 세종대로는 6차선으로 줄어든다. 교통 혼잡 우려에 대해 서울시는 우회도로 정비를 통해 광화문 일대를 보행과 대중교통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광화문 복합역사를 신설해 이곳을 ‘강북교통허브’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런던의 트라팔가광장, 파리의 개선문광장 같이 대한민국의 상징 광장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는 것”이라며 “시민에게 사랑받고 세계인이 즐겨 찾는 명소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런던의 트라팔가광장, 파리의 개선문광장 같이 대한민국의 상징 광장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는 것”이라며 “시민에게 사랑받고 세계인이 즐겨 찾는 명소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상재 기자 lee.sangjai@joongang.co.kr
'時事論壇 > 橫設竪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논단>광화문광장을 모독하는 정치적 발상 (0) | 2019.01.24 |
---|---|
<뉴스와 시각>어설픈 중재의 나쁜 결말 (0) | 2019.01.23 |
[만물상] 北 미사일 요격 레이저 (0) | 2019.01.21 |
"퇴사가 더 어려워" 日, 대신 사표 내주는 회사 성행 (0) | 2019.01.21 |
[동서남북] 민주주의는 左右 문제가 아니었구나 (0) | 2019.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