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백영옥의 말과 글] [126] 우정에 대하여

바람아님 2019. 11. 30. 08:44

(조선일보 2019.11.30 백영옥 소설가)


백영옥 소설가어른이 된 후 다시 '빨간 머리 앤'을 읽기 시작했을 때 몇 번 만나지 않은 다이애나에게

다짜고짜 '영원한 우정'이라든가 '죽는 날까지 함께하겠다'는 맹세를 하는 장면을 보고 당황했다.

사람과 사람 사이 거리를 존중하는 쪽이라 더 그랬던 것 같다.

하지만 여러 번 읽고 난 후, 앤의 행동을 이해했다.


앤이 태어난 1900년대 초반에는 아동 인권을 중시하지 않았다.

그렇게 어린 앤은 쌍둥이 아기를 돌보는 일을 했다. 얼마나 뛰어놀고 싶을 나이인가.

앤의 소원은 친구를 사귀는 것이었다. 그 마음이 얼마나 간절했는지 앤은 청소하다가 찬장에 비친 자기 얼굴에

'캐시 모리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캐시는 앤의 유리창 속 친구였다.


얼마 전 '조선에서 백수로 살기'의 저자 고미숙 선생을 만났다.

그녀는 자본주의가 너무 '사랑'을 강조해서 '우정'이 폄하되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

사랑의 기본은 '독점과 배타적 소유'다. 그래서 집착을 낳기 쉽고 화폐와 긴밀히 연결된다.

이런 관계에만 몰입하면 존재가 작아진다. 또 가족 관계는 애증과 부채감이 기본이라 수평적 대화가 어렵다.

사랑과 가족을 초월해 우리를 가장 성장시키는 건 '도반(道伴)' 즉 우정이라는 게 그녀의 말이었다.


연암 박지원은 10대 시절 심한 우울증을 앓았다. 그런 그를 일으켜 세운 건 여러 책과 친구였다.

박제가, 이덕무 등 친구들은 탑골공원에 모여 천문과 음악 예술을 논했다.

한량이었던 연암이 고립되지 않은 건 모두 동무면서 선생이었던 친구들 덕분이었다.

거울로 나를 보는 건 '나'라는 '자아'에 맞춰져 있다.

하지만 '창문'을 통해 나를 보는 건 길과 나무, 그곳을 오가는 사람들, 즉 '관계' 속의 '나'에 맞춰져 있다.

어느 쪽이 더 큰 세계를 보게 될까. 고립과 자립은 다르다.

식당에서 혼밥을 하던 어느 날, 생각했다. 사람에게 지쳐 혼술을 하면서도 SNS에 사진을 찍어 올리고,

끝내 사진에 붙은 '좋아요'를 기다리는 어떤 마음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