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고전·고미술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 추사의 '세한도' 속에 잣나무는 없다

바람아님 2021. 1. 22. 09:05

조선일보 2021. 01. 22. 03:05

 

작년 연말 정부는 ‘세한도’를 기증한 손창근 선생에게 ‘금관문화훈장’을 수여하고 대통령이 직접 격려했다. 추사 김정희 선생의 ‘세한도’는 흔히 값을 매길 수 없는 ‘무가지보(無價之寶)’라고 할 만큼 최고의 명작으로 꼽는다.

‘세한도’란 이름은 논어 자한편의 겨울이 되어야 송백이 시들지 않음을 알게 된다는 뜻의 ‘세한송백(歲寒松柏)’에서 왔다. 그림 속의 오른쪽 고목나무는 소나무, 나머지 3그루는 잣나무라고 흔히 해설한다. ‘송(松)’이 소나무인 것은 틀림없으나 ‘백(柏)’이 무슨 나무인지는 좀 따져볼 필요가 있다.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1/22/KB6MQD4T6FFDNLXNDGSXVOTXGA/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 추사의 '세한도' 속에 잣나무는 없다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 추사의 ‘세한도’ 속에 잣나무는 없다

 

www.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