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양반들은 法治를 부정한다
조선일보 2022. 02. 26. 03:04
신양반사회
김은희 지음|생각의힘|264쪽|1만7000원
조국과 윤미향 지지자들은 왜 끝까지 팩트를 인정하지 못할까. “그들이 양보할 수 없고 타협할 수 없는 최후의 보루는 자신들의 도덕적 우월성이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썼다. 도덕적 우월성에서 통치의 정당성을 찾기 때문이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인류학 박사를 받은 저자는 “운동가(586 운동권)들이 말하는 정의로운 사회는 도덕적으로 우월한 사람들에 의한 통치, 즉 덕치를 지향하는 양반 사회이지 법치에 기반한 근대적 자유민주주의 사회가 아니다”라고 한다. 이들의 정의(유교적 덕치)와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정의(법치)는 동음이의어라고 주장한다.
https://news.v.daum.net/v/20220226030429945
21세기 양반들은 法治를 부정한다
21세기 양반들은 法治를 부정한다
신양반사회 김은희 지음|생각의힘|264쪽|1만7000원 조국과 윤미향 지지자들은 왜 끝까지 팩트를 인정하지 못할까. “그들이 양보할 수 없고 타협할 수 없는 최후의 보루는 자신들의 도덕적 우
news.v.daum.net
우리 안의 파시즘은 왜 한층 은밀해졌나
조선일보 2022. 02. 26. 03:03
우리 안의 파시즘 2.0
임지현·우찬제·이욱연 엮음 | 김내훈·김진호 등 10인 지음 | 휴머니스트 | 212쪽 | 1만6000원
1999년 민주화 세력 내부의 모순을 비판하며 계간지 ‘당대비평’에 발표돼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궜던 동명(同名) 기획의 두 번째 버전이다. 22년이 흘렀다. 무엇이 바뀌었을까.
https://news.v.daum.net/v/20220226030342920
우리 안의 파시즘은 왜 한층 은밀해졌나
우리 안의 파시즘은 왜 한층 은밀해졌나
우리 안의 파시즘 2.0 임지현·우찬제·이욱연 엮음 | 김내훈·김진호 등 10인 지음 | 휴머니스트 | 212쪽 | 1만6000원 1999년 민주화 세력 내부의 모순을 비판하며 계간지 ‘당대비평’에 발표돼 한국
news.v.daum.net
"페북·트위터는 '석탄 발전소'.. 기업은 돈 벌지만 세상은 오염"
조선일보 2022. 02. 26. 03:04
[Books가 만난 사람] 前 가디언 기자 찰스 아서
사용자 분노 겨냥한 소셜미디어 악영향 점진적, 돌이키기 어려워
'기후 온난화'와 닮았다고 지적
"2주도 안 남은 대통령 선거.. '분기탱천' 콘텐츠 공유 말라"
소셜 온난화
찰스 아서 지음|이승연 옮김|위즈덤하우스|472쪽|2만2000원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서는 소셜미디어에서 본 것은 공유하지 마라. 특히 공유하려던 포스팅이 당신을 분기탱천하게(outrage) 했다면 더더욱.”
영국 가디언 등에서 IT 기자로 일했고, 지금은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인 찰스 아서는 한국 대선이 코앞이라는 말을 듣자 이렇게 답했다.
https://news.v.daum.net/v/20220226030431946
"페북·트위터는 '석탄 발전소'.. 기업은 돈 벌지만 세상은 오염"
"페북·트위터는 '석탄 발전소'.. 기업은 돈 벌지만 세상은 오염"
소셜 온난화 찰스 아서 지음|이승연 옮김|위즈덤하우스|472쪽|2만2000원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서는 소셜미디어에서 본 것은 공유하지 마라. 특히 공유하려던 포스팅이 당신을 분기탱천하
news.v.daum.net
脂肪, 비만이라 부르면 모든 차별이 시작된다
조선일보 2022. 02. 26. 03:04
지방은 어쩌다 공공의 적이 되었나?
한네 블랭크 지음|이은정 옮김|황소자리 |232쪽|1만3500원
‘비만 여성은 여자답지 않다고 간주되는 동시에, 가족과 고용주, 건강 전문가로부터 추가로 낙인찍히는 것을 감수한다.’ 미국 뉴욕시립대 야스민 소카 하커 로스쿨 교수가 ‘비만 차별’에 관해 법률 학술지에 기고한 글이다. 역사학자이자 젠더 연구가인 저자가 이 같은 내용을 책 속에 인용한 건 그녀도 비슷한 일을 겪어왔기 때문.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열거하며 ‘비만인 차별이 성차별’이라는 야스민 교수 주장에 힘을 싣는다.
https://news.v.daum.net/v/20220226030413938
脂肪, 비만이라 부르면 모든 차별이 시작된다
脂肪, 비만이라 부르면 모든 차별이 시작된다
지방은 어쩌다 공공의 적이 되었나? 한네 블랭크 지음|이은정 옮김|황소자리 |232쪽|1만3500원 ‘비만 여성은 여자답지 않다고 간주되는 동시에, 가족과 고용주, 건강 전문가로부터 추가로
news.v.daum.net
'人文,社會科學 > 책·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그렇게 죽어도 좋은 '매춘부'는 없다 (0) | 2022.03.09 |
---|---|
[금주의 서평 모음] (0) | 2022.03.06 |
우석훈 "진보 집권 5년.. 정책은 실패했고 미학적으론 파산" (0) | 2022.02.24 |
[금주의 서평 모음] (0) | 2022.02.13 |
[금주의 서평 모음]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