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22-05-03 20:34
성모 마리아는 회화의 역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여성이다. 아들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는 것을 지켜봐야 했던 가엾은 어머니. 그래서 성모 마리아는 모든 불쌍하고 고통받는 사람을 위로하는 어머니가 됐다. 성모 마리아를 다룬 숱한 그림 중 딱 한 점을 골라내기란 쉽지 않지만 조르주 드 라투르의 ‘갓난아기’가 아름다운 작품이라는 데는 토를 달 사람이 없을 것이다.
앳된 어머니가 잠든 아기를 소중히 안고 경이로운 듯 들여다보고 있다. 왼쪽에 있는 나이 든 여성은 성모의 어머니 성 안나. 성 안나는 아기 예수의 얼굴을 잘 비추게끔 손을 들어 촛불을 감싸고 있다. 우아하고 신중하게 손을 든 자세와 온화한 눈길이 돋보인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504030007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평범함에 깃든 성스러움/미술평론가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거벗은 이 여자, 뭐 때문에 빤히 쳐다보나[후암동 미술관-에두아르 마네 편] (0) | 2022.05.07 |
---|---|
침팬지의 시간[이은화의 미술시간]〈213〉 (0) | 2022.05.06 |
이건희, 한류의 새 이름[우보세] (0) | 2022.05.03 |
예고 없이 ‘툭’ 떨어진 꽃처럼… 사랑도 영원한 건 없다 [김한들의 그림 아로새기기] (0) | 2022.05.01 |
뜻하지 않게 만난 그림[그림을 읽다/전이린] (0) |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