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챗GPT 작성 논문에 대한 제재는 반드시, 언제나, 옳을까

바람아님 2023. 1. 27. 15:41

지디넷코리아 2023. 1. 27. 14:41

[이균성의 溫技] 모든 것이 바뀔 수 있다

지식과 문화는 ‘인간의 경험을 재현함으로써 새롭게 창조해낸 결과’다. 이때 경험은 인간 한 명의 개별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누적된 인류의 경험이기도 하다. 그런데 경험을 누적하려면 재현할 수단이 필요하다. 그것이 언어와 그림과 음악이다. 이 세 가지야 말로 인간을 지구상의 모든 동물과 구별 짓는 요소다. 종교 이념 정치 과학 등 인간이 창조한 모든 문명은 이 세 가지를 통해 건설되었다.

(전략)
인간 사이 다툼은 결국 ‘경험 재현 능력’을 놓고 벌이는 싸움이다. 경험 재현 능력이 곧 기득권이고 그것이 서열과 지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돈 있는 사람들이 강남 8학군으로 달려가는 것도, 의사들이 의대 정원 제한에 목숨을 걸고 반대하는 것도, 탈레반이 여성의 학습을 금지시키는 것도, 미국이 중국의 첨단 기술 습득을 막는 것도 이치는 다 같다. 이미 정해진 서열과 지위를 지키려는 거다.

영국의 과학 학술지 네이처의 발표는 이 점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끔 만든다. 네이처는 지난 24일 "챗GPT(ChatGPT)는 논문의 공동 저자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공식 발표했다. "저자는 연구에 대한 책임이 따르며 AI는 그런 책임을 질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 핵심 이유다. 여러 모로 타당하다. 하지만 그 타당성이 언제까지나, 다시 말해 영원히, 유효할 지에 대해서는 의문스럽지 않을 수가 없다.

(중략)
서구의 역사는 예수의 탄생을 기점으로 기원전과 기원후를 갈랐지만 후세의 역사가들은 챗GPT를 기점으로 인류의 역사를 구분할 지도 모른다. 인간이 아니면서 그동안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었던 ‘경험의 재현 및 재구성 능력’을 가진 존재가 나타났고, 그것은 곧 인간에 의해 구축된 서열과 지위를 송두리째 흔들 새로운 판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 큰판을 누구라서 제대로 알겠는가.


https://v.daum.net/v/20230127144147423
챗GPT 작성 논문에 대한 제재는 반드시, 언제나, 옳을까

 

챗GPT 작성 논문에 대한 제재는 반드시, 언제나, 옳을까

(지디넷코리아=이균성 논설위원)지식과 문화는 ‘인간의 경험을 재현함으로써 새롭게 창조해낸 결과’다. 이때 경험은 인간 한 명의 개별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누적된 인류의 경험이기도 하다.

v.daum.net

 

[만물상] 놀랍고 두려운 ‘챗GPT’

조선일보 2023. 1. 28. 03:18

1998년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가 창업한 구글은 검색 알고리즘 하나로 인터넷 지배자가 됐다. 구글 본사에는 이들의 엄청난 성장 속도를 보여주는 직원 연례행사 사진이 있다. 스키장에서 열던 단출한 모임을 나중에는 디즈니랜드를 통째로 빌려 해야 했다. 그런 구글이 지난 20일 1만2000명을 한꺼번에 해고했다. 세계 최고 직장에 다닌다는 자부심이 넘치던 직원들 사이에서 ‘피의 금요일’이라는 말이 나왔다.

(중략)
▶공개 두 달 만에 1000만명 이상이 챗GPT로 수많은 실험을 했다. 의학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주고 요약하게 했더니 과학자들도 사람이 쓴 것과 구별하지 못했다. 표절 검사는 100% 통과했다. 미국 대학 로스쿨 입학 시험, 경영대학원 기말시험, 의사 면허 시험도 합격했다.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자가 사람이 치르는 시험을 통과하는 AI 개발에 도전했지만 실패했다. 행간에 숨은 질문자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챗GPT는 그 장벽도 뛰어넘었다.


https://v.daum.net/v/20230128031815915
[만물상] 놀랍고 두려운 ‘챗GPT’

 

[만물상] 놀랍고 두려운 ‘챗GPT’

1998년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가 창업한 구글은 검색 알고리즘 하나로 인터넷 지배자가 됐다. 구글 본사에는 이들의 엄청난 성장 속도를 보여주는 직원 연례행사 사진이 있다. 스키장에서

v.daum.net

 



[오늘과 내일/김용석]AI 시대를 맞이하는 법

동아일보 2023. 1. 28. 03:00

AI는 도로, 인터넷 같은 경제·사회 인프라
접근성 높여 가치 극대화 방안 고민해야

미국 오픈AI가 공개한 인공지능 챗GPT(chat GPT)에게 ‘인공지능(AI)에 대한 칼럼을 써보라’고 요청했다. “AI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술 중 하나로, 우리 생활과 비즈니스를 극적으로 바꾸어 줄 것이다”라는 문장을 시작으로 논리 정연한 글이 술술 흘러나왔다. 

높은 수준의 대화와 문서 작성이 가능한 챗GPT가 일반에 공개되면서, 말 그대로 ‘극적인 변화’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인간의 지적 능력을 기르고 평가하는 교육, 연구 분야에서 먼저 파장이 일었다. 챗GPT를 엄격히 금지해야 한다는 쪽과 오히려 활용을 장려해야 한다는 쪽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AI 혁명이 이어지며 논란과 시행착오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AI 시대를 맞이하는 데 있어 두 가지를 꼭 염두에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인터넷과 컴퓨터가 없는 교육, 업무 환경을 상상하기 어려운 것처럼 AI 역시 누구나 활용하는 인프라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접근성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중략)
‘AI로 인해 세상이 급변할 것’이라는 챗GPT 답변은 스스로 자유의지를 담아 말한 것이 아니다. 인간이 만들어낸 데이터의 통계 값이다. 즉, AI가 세상을 바꿀 것이라는 건 인간 스스로의 생각이며 그 의지로 인해 펼쳐질 미래라는 얘기다. 정해진 미래와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우리 운명이 달려 있다. 


https://v.daum.net/v/20230128030033769
[오늘과 내일/김용석]AI 시대를 맞이하는 법

 

[오늘과 내일/김용석]AI 시대를 맞이하는 법

김용석 산업1부장미국 오픈AI가 공개한 인공지능 챗GPT(chat GPT)에게 ‘인공지능(AI)에 대한 칼럼을 써보라’고 요청했다. “AI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술 중 하나로, 우리 생활과 비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