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23. 2. 28. 10:09
딜쿠샤(Dilkusha, 힌두어로 이상향이란 뜻)는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건물 이름이다. 서울 종로구 행촌동의 인왕산 자락, 권율 장군의 생가 느티나무 건너편에 지금도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붉은색 벽돌로 지은 지하 1층에 2층 건물로 총 면적은 624㎡정도다.
1923년 이 집을 짓고 1942년 일제에 의해 추방될 때까지 살았던 주인은 미국의 광산기업인이자 언론인 앨버트 와일드 테일러(1875∼1948)와 부인 메리 테일러다. 집 이름은 물론 테일러 부부가 붙였다.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서양식 주택 중에서도 구성과 외관이 매우 독특하다. 화강석 기저부 위에 붉은 벽돌을 세워 교차하면서 쌓는 흔치 않은 방식으로 지어졌다.
테일러 부부와 딜쿠샤 얘기를 갑자기 꺼낸 것은 그가 1919년 3·1 운동을 해외에 맨처음 알린 인물이기 때문이다. 마침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삼일절을 맞아 앨버트 테일러의 삶을 기리는 4분 길이의 영상을 제작해 배포했다고 28일 밝혔다.
https://v.daum.net/v/20230228100926349
3·1 운동 맨처음 해외에 알린 앨버트 테일러와 딜쿠샤 이야기
3·1 운동 맨처음 해외에 알린 앨버트 테일러와 딜쿠샤 이야기
딜쿠샤(Dilkusha, 힌두어로 이상향이란 뜻)는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건물 이름이다. 서울 종로구 행촌동의 인왕산 자락, 권율 장군의 생가 느티나무 건너편에 지금도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v.daum.net
'人文,社會科學 > 歷史·文化遺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발’이 된 홍위병 세대 “노예들아, 일어나라!”... 50년 전 노래 부르며 시위[송재윤의 슬픈 중국] (1) | 2023.03.04 |
---|---|
태영호 “3·1절 독립운동가 사진에 이승만 빠져...功 인정해야” (1) | 2023.03.01 |
[홍익희의 新유대인 이야기] [55] 사막 은광촌을 카지노·컨벤션 도시로… 3명의 유대인 ‘잭팟’ (1) | 2023.02.28 |
"일장기에 그린 태극기는 저항의 상징"…항일운동 재조명 (1) | 2023.02.26 |
‘전라도 천년사’에 숨은 일본 땅?…시민단체 ‘바로잡기’ 서명운동 (1)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