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23. 5. 30. 03:04
사진 기술 발명은 모든 걸 바꾸어 놓았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세상이 렌즈를 통해 필름에 담기고, 이렇게 필름과 종이에 남은 세상은 수십 년, 수백 년 보존이 가능하다. 나 혼자만 볼 수 있었던 세상을 모두가, 그리고 먼 훗날에도 볼 수 있게 되자 예술가들은 혼란에 빠진다. 세상을 있는 그대로, 최대한 정교하게 보여주는 것이야말로 예술의 역할 아니었나? 기계가 세상을 더 정확하고 영구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면, 화가와 조각가는 왜 있어야 할까?
예술가는 대부분 사진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외면하거나 거부한다. 하지만 예술의 역할은 기계보다 세상을 더 정교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믿었던 그들의 이름은 머지않아 기억에서 사라지기 시작한다. 반대로 새로운 기술의 등장을 진지하게 받아들인 예술가들도 있었다. 눈에 보이는 것을 기계가 보여줄 수 있다면, 인간은 눈으로는 쉽게 볼 수 없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인상파, 야수파, 표현주의, 미래파, 신즉물주의, 큐비즘… 20세기 현대미술의 시작이었다.
19세기 사진 기술이 20세기 현대미술의 기원이 되었듯, 21세기 생성형 인공지능이 과연 22세기 새로운 예술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https://v.daum.net/v/20230530030416920
[김대식의 미래 사피엔스] [30] 22세기를 위한 예술
'人文,社會科學 > 敎養·提言.思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영옥의 말과 글] [307] 단절, 나 자신을 지키는 권력 (2) | 2023.06.10 |
---|---|
[백영옥의 말과 글] [306] 프로에 대하여 (1) | 2023.06.03 |
[백영옥의 말과 글] [305] 챗GPT는 질문이다 (2) | 2023.05.27 |
[돋을새김] 흰머리에 대하여 (2) | 2023.05.23 |
[백영옥의 말과 글] [304] ‘좋은’ 사람을 구분하는 법 (1) | 202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