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16-02-18
![](http://dimg.donga.com/wps/NEWS/IMAGE/2016/02/18/76524972.2.jpg)
네안데르탈인 여성의 엄지발가락 뼈 사진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진화인류학 연구팀이 시베리아 남부 알타이산맥 동굴에서 출토된 여성 네안데르탈인의 엄지 발가락뼈 유전자 분석을 통해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짝짓기가 이미 10만 년 전부터 시작됐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과학전문지 네이처가 17일 보도했다. 세르게이 카스텔라노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5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화석의 유전자 가운데 21번 염색체에서 인간 유전자의 흔적을 발견했다. 연구진을 이를 토대로 이 유전자를 추적한 결과 10만 년 전쯤 유럽에서 아시아로 이동한 네안데르탈인 무리와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동한 현생인류 간 짝짓기의 결과 이 여성의 조상이 태어났다는 결론을 내렸다.
학계에선 한동안 약 2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현생인류가 6만 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중동을 거쳐 유라시아로 넘어오면서 그곳의 터줏대감 격이었던 네안데르탈인을 멸종시켰다고 생각했다. 대규모 무력충돌을 염두에 두고 ‘인종학살’이란 표현까지 나왔다. 또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간에는 짝짓기가 불가능해 같은 종이 아니다라고까지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가설은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지도가 완성돼 현생인류의 유전자의 1~4%가량은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물려받았음이 밝혀지면서 무너졌다. 이어 중동지역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특징을 공유하는 유골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양 인류가 전쟁만 한 게 아니라 사랑도 나눴음이 입증됐다.
이번 연구는 그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이 10만 년 전쯤에 이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지난해 10월에 중국 남부에서 발견된 8만~12만 년 전 치아(47개) 화석이 현생인류의 것과 동일하다는 연구결과와 함께 현생인류의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시점이 기존에 알려진 6만 년 전보다 4만 년은 더 이르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권재현기자
'人文,社會科學 > 人文,社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해현의 문학산책] 책은 꼬리에 꼬리를 물며 천국으로 이어진다 (0) | 2016.03.10 |
---|---|
[김시덕의 종횡무진 인문학] 개성 강한 '아웃사이더'로의 매혹… 안대회에 주목한다 (0) | 2016.03.06 |
[강경희 칼럼] 低성장보다 심각한 低신뢰·低배려의 위기 (0) | 2016.02.18 |
졸리앙의 서울일기 ① 나날이 발전하기 (0) | 2016.02.15 |
졸리앙의 서울일기 ② 지혜를 찾는 서울의 이방인 (0) | 2016.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