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2.10.09 우정아 포스텍 교수·서양미술사)
로렌체티 '치안의 알레고리'…
- 1338~1340년, 프레스코화,
- 시에나 팔라초 푸블리코 소재.
반듯하게 정돈된 농지가 끝없이 펼쳐진 풍요로운 땅 위로 날개를 단 여인이 보기에도 섬뜩한 교수대(絞首臺)를 손에 쥐고 있다. 다른 한 손으로는 "이 여인이 지배하는 한, 누구라도 자유롭고 두려움 없이 여행할 수 있다. 그녀가 악한들을 몰아내기 때문이다"라는 글귀를 펼쳐들고 있다. 그녀의 정체는 바로 등 뒤에 쓰여 있듯, 'SECURITAS,' 즉 '치안'이다.
이처럼 서양 미술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을 그 고유의 상징물을 들고 있는 여인으로 의인화(擬人化)하여 표현하는 알레고리의 전통이 있다.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의 화가 암부로조 로렌체티(Ambrogio Lorenzetti·1285~1348)가 그린 이 그림은 '치안'을 위협하는 이들에게는 반드시 사회의 엄중한 처벌이 뒤따른다는 것을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치안의 알레고리'는 로렌체티가 당시 이탈리아에서 가장 강성했던 도시국가인 시에나 공화국의 의회로부터 주문을 받고 팔라초 푸블리코, 즉 시청 건물의 '평화의 방(房)'에 그렸던 '좋은 정부와 나쁜 정부의 알레고리' 중 일부이다. 7.7×14.4m 크기인 직사각형 방의 세 벽을 장식하는 벽화에는 우선 좋은 정부를 이루는 덕성, 즉 평화·용기·인내·신중함·관대함·절제·정의가 표현되었고, 그 결과로 이루어진 활기찬 도시와 평화로운 농촌의 풍경이 장엄하게 펼쳐져 있다. 바로 '치안'이 지배하는 곳이다. 반대편에는 나쁜 정부의 악덕, 즉 탐욕과 독재가 그려졌다. 물론 그 뒤에는 범죄와 폭력이 판을 치는 도시와 새까맣게 불타버린 농지가 보인다. 이 작품은 14세기 중반, 인간의 구원을 오직 신(神)의 뜻에 맡겼던 중세로부터 차츰 현실적인 정치의 역할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거대한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Ambrogio Lorenzetti_The Effects of Good Government in the Countryside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113] 귀족 도련님을 키운 중산층 가정교사와 유모들 (0) | 2013.10.19 |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1] "잠시 후 앵무새는 살아난다… 기적은 神 아닌 과학의 것" (0) | 2013.10.18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79] 평온한 농촌, 건실한 농부의 모습…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향수였다 (0) | 2013.10.16 |
[그림이 있는 아침] 주당들의 술 겨루기 (0) | 2013.10.16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78] 광기와 폭력 뒤섞인 '현실 세계'… 이승과 저승 가르는 江 위의 단테 (0) | 201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