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남동부에는 오랜 시간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신비의 섬’이 존재한다. 바로 거대석상인 ‘모아이’의 고향 이스터섬이다.
최근 미국 애리조나 대학 등 공동연구팀은 모아이의 비밀을 밝힌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미국에서 발행되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발표했다.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모아이는 사람 얼굴을 한 거대 석상으로 수백여 개가 섬 전체에 늘어서 있다. 그간 현대의 연구진들을 괴롭힌 것은 이스터섬 원주민들이 왜 이렇게 많은 모아이를 만들어 세웠느냐는 점이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다양한 이론을 제기했지만 모아이가 아무 자리에나 그냥 세워진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번에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모아이의 위치는 놀랍게도 마실 수 있는 민물이 있는 위치와 같았다. 곧 민물이 중요한 섬의 특성상 주민들이 섬 여기저기에서 쉽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모아이를 세워 위치를 알린 것이다. 이와 반대로 물이 없는 지역에는 모아이도 세워지지 않았다.
연구의 공동저자인 테리 헌트 박사는 "모아이들은 섬 주민들에게 매일 필요한 신선한 물에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해있다"면서 "이는 모아이가 이상한 의식을 치르는 장소와 대상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아이는 주민들에게는 신격화된 조상과 같은 상징적인 존재"라면서 "매일 이곳에서 소중한 물을 마시며 가족과 사회적 유대를 키웠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화산폭발로 생성된 이스터섬은 칠레 본토에서도 3500㎞ 떨어져 있는 외딴 섬이다. 원주민들은 이스터섬을 ‘라파누이‘(Rapa Nui)라 부르는데 이는 커다란 땅을 의미한다. 전체 면적이 163.6㎢로 서울 면적의 4분의 1 정도.
원래는 숲이 우거진 풍요로운 공간이었던 이스터섬이 세상에 처음 알려진 것은 1722년이다. 당시 네덜란드인들은 이 땅에 처음 발을 내딛으며 900개에 달하는 모아이와 1500~3000명의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고 세상에 처음 알렸다. 이후 이스터섬은 찬란하게 꽃핀 문명을 뒤로하고 불과 수백 년 만에 몰락의 길을 걸었다.
이스터섬 몰락 원인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 의견은 엇갈린다. 지금까지 정설은 원주민들의 무분별한 벌채와 카니발리즘(인육을 먹는 풍습)에서 찾았다. 거대 석상인 모아이를 운반하기 위해 수많은 나무를 베며 숲이 사라졌고, 점점 먹을 것이 부족해진 원주민들이 사람까지 해치게 됐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최근들어서는 이스터섬 몰락원인이 유럽인들 때문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있다.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 크리스토퍼 스티븐슨 박사는 “유럽인들이 이스터섬에 도착하면서 천연두와 매독을 옮겨왔다”면서 “이 때문에 원주민들은 관련 질병에 시달리기 시작했으며 일부는 노예로 끌려가 자연스럽게 인구수가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人文,社會科學 > 時事·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희영의 News English] 대영제국 공로훈장 받은 한국계 영국인 (0) | 2019.01.15 |
---|---|
[알쓸신세]돈만 주면 아이 낳는다···임신 하청 '구글 베이비' (0) | 2019.01.14 |
[윤희영의 News English] 난생처음 차별당한 백인 老人의 독백 (0) | 2019.01.10 |
[글로벌 이슈/이유종]스위스엔 왜 슈퍼리치들이 몰릴까? (0) | 2019.01.08 |
[윤희영의 News English] 뱉기 전에 되씹어봐야 할 말 (0) | 2019.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