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2023. 4. 26. 00:19
■ 생명의 원천과 '역발상 지혜'
젖몸살 여인 고통 덜어주려고
아이처럼 젖 빠는 '굶은 남자'
굶어 죽는 형벌 받은 아버지에게
감옥 찾아 젖 물리는 딸의 마음
강·바다·母性은 '문명의 젖줄'
풍요로운 땅 상징도 '젖과 꿀'
고두현 논설위원
기 드 모파상의 소설 ‘목가(Idylle)’에 나오는 감동적인 장면이다. 젖도 떼지 않은 애를 두고 남의 집 아이에게 젖을 먹이러 가는 여자, 그 여자의 젖을 어린애처럼 빨아먹는 낯선 남자…. 이 남자와 아이를 잇는 ‘젖’은 그야말로 ‘생명줄’이다. 메마른 대지를 적시는 빗줄기와 비옥한 평야를 휘감아 도는 강줄기, ‘젖과 꿀이 흐르는’ 풍요의 물줄기도 이 같은 모성(母性)의 샘에서 발원한다.
‘여자의 일생’ ‘목걸이’ 등 모파상 소설에는 어머니와 여자 이미지가 여럿 겹쳐 있다. 그래서 한때 그의 이름을 ‘모(母)파상’이라는 여성적 어감으로 새겨보곤 했다. ‘어미 모(母)’라는 한자 역시 여자(女)의 안쪽에 젖가슴을 상징하는 점 두 개를 찍은 모습이다.
프랑스어로 어머니(mre)는 바다(mer)와 같은 발음을 지녔다. 바다를 품은 존재가 어머니다. 한자 ‘바다 해(海)’도 어머니(母)를 품고 있다. 우리는 고생물학자가 아니더라도 모든 생물이 바다에서 왔다는 것을 안다. 역사학자 쥘 미슐레도 바닷물을 ‘근원적인 젖’이라고 봤다.
https://v.daum.net/v/20230426001902383
[고두현의 문화살롱] 모파상과 루벤스의 특별한 '젖' 이야기
[고두현의 문화살롱] 모파상과 루벤스의 특별한 '젖' 이야기
화창한 봄날,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프랑스 마르세유로 가는 기차에 한 남자와 여자가 마주 앉아 있었다. 20대 초반 남자는 햇볕에 그을린 일꾼, 20대 중반 여자는 뚱뚱하고 모성적인 인상의 농촌
v.daum.net
모파상 단편선
저자 기 드 모파상 | 역자 임미경
출판 열린책들 | 2022.7.20.
페이지수 400 | 사이즈 130*195mm
판매가 서적 14,220원 e북 10,670원
'人文,社會科學 > 敎養·提言.思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래와 세상] 전쟁과 판타지 (1) | 2023.05.01 |
---|---|
[백영옥의 말과 글] [301] 죽지 말고 복수하세요 (2) | 2023.04.29 |
[백영옥의 말과 글] [300] 보이지 않는 것을 본다는 것 (2) | 2023.04.22 |
[선데이 칼럼] 벚꽃 순서대로 폐교, 지방대학만의 문제 아니다 (2) | 2023.04.22 |
[이재호의 미술관 속 해부학자] 나르키소스와 마약 (2)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