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2024. 9. 10. 00:20
대통령실은 야당과 의료계 일각이 여·야·의·정 협의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데 대해 공식 반응을 내지 않고 “의료개혁에 집중할 때”라고만 밝혔다. 협의체 구성 전에 벌어지는 여러 공세에 일일이 반박하기보다는 의료계를 비롯한 각 주체의 대화 테이블 참여부터 유도하는 게 급선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대한의사협회가 이날 ‘모든 증원 계획 취소’ ‘필수의료정책 패키지 정책 폐기’를 주장하는 호소문을 낸 뒤에도 “대화의 장에 나와 달라”고만 반응했다.이러한 대응은 대통령실이 그간 보여온 강경한 태도와는 차이가 있다. 대통령실은 의대 증원이 단순히 행정부의 정책인 것만이 아니라 여야 입법부가 공감했고 사법부도 ‘공공복리’의 정당성에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강조해 왔다. 그럼에도 의사들만이 반발한다는 인식이었다.
대통령실은 의료공백 해법을 위해서는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료계가 들어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대통령실은 여야 원내대표가 이날 의료계 동참 유도의 뜻을 모은 데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여야가 의료계와 힘을 모아서 해결책을 찾아가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https://v.daum.net/v/20240910002031644
야·의료계 “대통령 사과하라” 요구에… 용산 “지금은 의료개혁에 집중할 때”
증원이냐 백지화냐… 갈팡질팡 의대 입시, 수험생은 불안
국민일보 2024. 9. 10. 00:07
당국 “내년도 모집인원 변경 불가”
2025학년도 수시 모집 원서 접수가 9일 시작됐지만 의대 정원을 둘러싼 입시 현장의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다.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다시 손대기 어렵다는 입장이나 의사단체와 여당 일각에선 내년도 증원 재검토까지 주장한다. 수험생과 학부모의 혼란이 증폭되는 가운데 여기서 정부가 물러서면 입시는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입학정원은 1509명 늘었다. 전국 39개 의대는 내년 신입생으로 4610명을 선발하는데, 이번 수시모집에서 67.6%인 3118명을 뽑는다. 교육당국은 내년도 모집인원 변경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내년도 증원을 재검토하려면 당장 수시 일정을 연기할 수밖에 없다”며 “(이럴 경우) 수험생들이 집행정지 가처분 등을 신청하면 저희가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수험생들은 입시 변동성이 큰 상황에 대해 여전히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날 서울 양천구 목동 학원가에서 만난 박모(19)씨는 의대를 목표로 하는 재수생이다.
https://v.daum.net/v/20240910000729549
증원이냐 백지화냐… 갈팡질팡 의대 입시, 수험생은 불안
'時事論壇 > 橫設竪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율 높인 헝가리 前대통령 “개는 아이 대체 못 해요” (2) | 2024.09.12 |
---|---|
[데스크시각] ‘중북마’정권, ‘중일마’ 정책 (2) | 2024.09.11 |
김동연 “13조 하늘에서 안 떨어져”…이재명 ‘전국민 25만원’ 반기 (9) | 2024.09.08 |
민주당만의 ‘만나면 좋은 친구’ MBC (4) | 2024.09.07 |
[단독] '180일 내' 法 명시에도...헌재 선고, 평균 800일 넘어섰다 (1)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