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오의 우리 신화이야기]백두산 천지수의 수호신 동아일보 2015-07-18 운무에 휩싸인 백두산 천지. 최원오 씨 제공 한민족(韓民族)의 영산(靈山)이라고 일컬어지는 백두산. 중국 지린(吉林) 성 얼다오바이허(二道白河)에 사는 우리 동포들이 전하는 구전신화 ‘천지수’에 따르면 본래 그 일대는 풍요롭고 살기 좋은 곳이었다. 그런데 어느 ..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20
[토요판 커버스토리]월급 200만원 男… “난 결혼자격 미달” 동아일보 2015-07-18 탐사기획: 결혼 못하는 청춘들 한국 사회에 ‘매리지 디바이드(Marriage Divide·경제적 사회적 여건에 따라 결혼할 수 있는지가 결정되고 계층 간 격차가 생기는 것)’ 현상이 뿌리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 탐사보도팀은 동아닷컴이 개발한 소셜네트워크서..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19
[이덕일의 천고사설] 인도와 한국의 길 한국일보 2015-7-16 필자는 지금 인도에 와 있다. 인도의 대표적 국제 학술교류기관인 '인도국제문화교류원(ICCR)'이 주최한 학술대회에 참석했다. 그런데 학술회의의 주제가 가야 시조 김수로왕의 왕비인 허황후와 그녀의 모국인 아유타국에 관한 것이다. 한국고대사의 수수께끼는 많지만 ..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18
문갑식 기자의 기인이사(奇人異士)(5):정정수와 소쇄원(上) (출처-조선일보 2015.04.29 Photo By 이서현)문갑식 기자의 기인이사(奇人異士)(5):정정수와 소쇄원(上)미대 나온 서양화가보다 '신통한 입시강사'로 더 유명한 사람 정정수(鄭正洙ㆍ62)는 꽤 유명한 화가입니다. 그는 서울 강남의 아줌마들 사이에서 ‘홍대 미대 나온 서양화가’보다 ‘신통한 ..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17
[윤세영의 따뜻한 동행]굉장한 사람 동아일보 2015-07-16 그녀는 이모부가 췌장암 말기라는 진단을 받자 어찌할 바를 모르며 허둥거리던 막내이모가 “가슴이 너무 답답해서 내가 먼저 죽게 생겼다. 나 좀 성당에 데려가 다오”라고 부탁했다는 이야기를 꺼냈다. 그녀는 이모와 함께 성당 사무실로 찾아가 교리를 신청하러 왔..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17
[백가쟁명:유주열]인문학 코드로 읽는 한.중.일 중앙일보 2015-7-15 인문학의 국제 전도사 인문학 바람이 불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경제관계가 두터운 한중(韓中) 사이에 인문학적 교류를 강조하였다. 비즈니스도 중요하지만 한중 양국의 국민들 끼리 ‘사람 사는 방식’을 서로 이해하는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지..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16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밥과 술이 익는 대폿집 경향신문 2015-7-15 1980년대까지만 해도 대도시 뒷골목에는 대폿집이 즐비했다. 실비집이라고도 하고, 그냥 막술집이라 부르기도 했다. 흥이 나면 장대비 들이치는 소리 비슷한 젓가락 반주 소리도 간간이 나오고, ‘나그네 설움’이니 ‘황성옛터’ 같은 노래를 라이브(?)로 들을 수도 있..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15
[글로벌 톡톡] 역동적 한국 청년들, 내향적 일본 청년들 [중앙선데이] 입력 2015.07.12 일전에 어느 연구기관이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질문에 답한 적이 있다. 한국생활에 관한 것이었다. 그 중에 ‘한국이 가진 가장 큰 강점과 취약점을 하나씩만 꼽는다면’이라는 질문이 있었다. 나는 “한국인 개개인은 모두가 힘이 넘친다는 이미지..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