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1] 말라카해협 (출처-조선일보 2013.02.07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동양'과 '서양'은 원래 말라카해협을 기준으로 나눈 개념이다. 중국에서 보았을 때 말라카해협 너머 서쪽으로 가는 해로(海路) 혹은 그 해로를 통해 도달하는 지역을 서양이라 불렀고, 반대로 말라카해협 동쪽을 동양이라 불렀..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0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0] 원조(援助) (출처-조선일보 2013.01.30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일본의 한 경제학자가 전후(戰後)에 일본이 경제발전을 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자원이 없었다는 점'을 드는 것을 보았다. 이 말은 우리나라에도 적용되는 게 아닐까? 만일 우리나라에 석유가 풍부하게 나서 거액의 석유 수출 대..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0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9] 바세나르 협약 (출처-조선일보 2013.01.23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1980년대 중반 네덜란드는 '선진 자본주의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고용 실패를 한 곳'이자 동시에 '노동 없는 복지'의 전형적인 사례로 지목되었다. 소위 '네덜란드 병'의 발생지였던 이 나라는 그로부터 10년 뒤 이번에는 '네덜란드..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04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8] 네덜란드 병(病) (출처-조선일보 2013.01.16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네덜란드 병(Dutch disease)'이란 천연자원 개발에 따른 갑작스러운 외환 증가가 제조업의 후퇴를 불러오는 것을 말한다. 마치 로또에 당첨된 후 오히려 인생이 망가지는 것과 유사하다. 슬로히터른 지역의 천연가스전(田)과 북해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0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7] 머라이온 (출처-조선일보 2013.01.09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신화에는 반인반수(半人半獸)의 존재가 많다. 켄타우로스는 사람과 말이 합쳐진 것이고, 인어는 사람과 물고기가 합쳐진 것이다. 이때 인어의 상체가 여성이면 '머메이드(mermaid)', 남성이면 '머맨(merman)'이라 한다. 이보다 더 특이..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30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5] 강남 좌파 (출처-조선일보 2012.12.26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강남 좌파’는 역사적으로 늘 있어 왔던 현상이다. 프랑스에는 고가의 귀족 식품인 러시아산 철갑상어 알(캐비아)을 즐기는 부자면서 민중을 옹호하는 ‘캐비아 좌파(gauche caviar)’가 있다. 유사한 종류의 사람을 독일에서는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3] 빅토르 위고 (출처-조선일보 2012.12.12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빅토르 위고가 본격적으로 정치에 뛰어들게 된 계기는 1848년 2월혁명이었다.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그는 대통령 선거에서 루이 나폴레옹(나폴레옹 황제의 조카)을 지지했다. 그런데 나폴레옹이 권력을 내려놓지 않으려고 스스로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3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2] 오즈의 마법사 (출처-조선일보 2012.12.05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프랭크 바움의 소설 '오즈의 마법사'는 1900년에 처음 선보인 후 영화와 뮤지컬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졌다. 특히 1939년에 빅터 플레밍 감독이 만든 영화는 '무지개 너머(Over the rainbow)'와 같이 우리에게 잘 알려진 멋진 노래와 재미..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