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수요 에세이] 인문학적 삶에 대하여/정재근 대전대 초빙교수·전 행정자치부 차관·시인

바람아님 2017. 1. 25. 23:20
서울신문 2017.01.25 03:38

먼저 필자가 인문학적 가치를 정의한 졸시 한 편을 소개한다.

정재근 대전대 초빙교수·전 행정자치부 차관·시인

짐 정리를 하면서 책을 버렸다/

한때 소중했던, 그래서/

베개 삼아 머리맡에 두고/

금과옥조처럼 읽고 또 외웠던 책들이/

하나 둘 사과상자 속으로 들어갔다//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이 빼곡한 사회과학 책들/

먹고사는 데 필요한 기능과 기술을 자랑하는 책들/

한때 그런 공부를 했다는 허세밖에는 아무것도 아닌 책들/

현상이 바뀌면 또 다른 정보로 고쳐져야 할 책들/모두 상자 속으로 들어갔다//


그래도 남아 있는 책들은/ 

돈의 눈이 아닌/ 신의 눈이 아닌/ 

인간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책들// 


사람을 긍휼히 여기고/행복의 본질을 탐구하고/ 

삶의 가치를 사색하고/ 

사회정의를 논하고/ 

역사와 사상을 담은 책들// 


숨결처럼 작은 바람에도 일렁이는 인간의 나약함을/ 

그 나약함 속에 깃든 인간정신의 무한한 강인함을/ 

인류역사의 진보에 대한 처절한 믿음을/ 몸짓하고/ 절규하고/

 노래하고/ 

그려내는/ 

그 행위들을 찬양하고 기록한/ 문학과 예술에 대한 책들//


그리하여 이 책들로 인해/ 인간이어서 자랑스럽고/ 

인간이어서 행복하고/

 인간이 보다 자유로워지고/ 

서로 좀더 사랑하고, 그래서// 


지금보다 더 나은 세상을 믿고 꿈꾸는 데/ 

새털만큼이라도 기여한/ 몇 권의 인문학 책들//


이제 내 나이 쉰다섯/ 

하늘의 뜻을 안다는 지천명/ 나는 지금 내 인생을 어떤 책으로 쓰고 있을까// 


이 한 생 마감하는 그날/

 한 권의 책이 세상에 나오는 그날/ 

그 책은 나오자마자 사과상자로 들어갈까/ 

간직하고픈 몇 권의 인문학 책으로 남을까//


사람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서 / 

이웃과 더불어 살면서 /

 다소 어리숙해도 영악하지 않아 / 

사람 냄새 풀풀 풍기면서 // 


수십 년이 지나도 의미를 지닌 책처럼 / 

향기나는 말로 사랑으로 / 

나의 남은 생을 살고 싶다 (2016 봄, 한국문학시대)


2010년 독일 근무를 마치고 옛날에 살던 집으로 돌아와 짐을 정리했다. 아내와 둘이 앉아 밤마다 책을 정리하다가 문득 버려지는 책과 남겨지는 책들 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버려지는 책들은 대부분 현상을 설명하는 책들로, 구할 당시에는 필요한 지식과 정보였지만 시간이 흐르면 다른 지식과 정보로 자주 고쳐져야 하는 것들이었다. 그래서 과감히 버리고 필요하면 다시 사서 보기로 했다. 그런데 ‘1979년 이상 문학상 수상 작품집’, ‘소유냐 존재냐’, ‘희망의 혁명’ 등과 같은 철학, 사상서, 시집, 소설책 등은 비록 대학 초년에 읽었던 보잘것없는 책이었지만 여전히 간직하고 싶었다. ‘그래 바로 이것이 인문학의 힘이구나. 사람을 얘기하고 행복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 정의를 논하고 역사와 사상을 담은 책은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살아남을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 ‘지금 나의 인생을 어떤 종류의 책으로 쓰고 있을까. 나 스스로 써 내려간 나의 인생에 대한 한 권의 책이 세상에 나오는 그날, 나의 책은 나오자마자 버려지는 책으로 분류될까, 간직하고 싶은 책으로 분류될까’ 하고 생각했다. “그래, 앞으로 내 인생을 인문학으로 써 내려가는 거야. 현실에 붙잡혀 아등바등 사는 것은 방법론적인 책을 쓰는 삶이겠지. 이웃과 함께 살고, 다소 어리숙하지만 영악하지 않아서 인간 냄새가 풀풀 나게 살고, 문화와 예술을 즐기며 철학과 가치를 공부한다면 다소 인문학적인 인생이 될 거야.” 지난 1월 18일은 공직을 은퇴하고 꼭 1년이 되는 날이었다. 공직을 마감하자마자 나는 바로 33년 공직인생을 고스란히 그리고 진솔하게 담은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 이 책이 과연 세상 사람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궁금했다. 다행히 지난 1년간 시·도, 시·군·구 등에서 초청을 받아 인문학적 행정과 따뜻한 행정 그리고 공직가치를 주제로 24회의 특강을 했으니 출간되자마자 사과상자 속으로 내쳐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오늘도 우리는 책을 쓴다. 직장을 마치거나, 학교를 마치거나, 생을 마치면 발간될 것이다. 당신은 세태를 좇아 다른 사람과 똑같은 인생으로 길가에 넘쳐흐르는 개성 없는 싸구려 책을 만들고 있는가. 아니면 스스로의 삶에 인문학적 가치를 불어넣으려고 치열하게 노력하는 인생으로 누구나 한 번쯤은 펼쳐 읽고 싶은 매력 넘치는 책을 쓰고 있는가. 며칠 후 나는 유엔에서 또 다른 공직을 시작한다. 그러면 나의 지난 1년은 또 한 권의 책으로 발간되어 냉철하게 평가될 것이다. 과연 이 책은 버려질 것인가, 간직될 것인가. 나로부터, 또 세상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