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2022. 12. 25. 09:00
지구 반 바퀴 넘는 최소 2만3천938㎞…고된 삶의 애환 묻어나
도시화·농업환경 변화 속 훼손되고 사라져 "문화재 지정 시급"
※ 편집자 주 제주에는 섬이라는 지리적 여건으로 생성된 독특한 문화가 많습니다. 그러나 오랜 세월 세대가 바뀌고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가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지만, 독특한 문화와 함께 제주의 정체성마저 사라지는 것은 아닌지 안타깝고 불안합니다. 근대화 과정에서 후진적이고 변방의 문화에 불과하다며 천대받았던 제주문화. 하지만 지금 우리는 그 속에서 피폐해진 정신을 치유하고 환경과 더불어 공존하는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습니다. 제주문화가 재조명받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다시'라는 우리말은 '하던 것을 되풀이해서'란 뜻 외에 '방법이나 방향을 고쳐서 새로이' 또는 '하다가 그친 것을 계속해서'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다시! 제주문화를 돌아보고 새롭게 계승해 나가야 할 때입니다. 연합뉴스는 이번 기획 연재를 통해 제주문화가 우리 삶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계승해 나갈 방법을 고민합니다. |
제주를 찾은 사람이라면 어디를 가든 쉽게 볼 수 있는 게 밭담이다.
밭을 따라 구불구불 길게 뻗어나간 검은 돌담은 철마다 형형색색의 옷을 갈아입고 맵시를 뽐내며 도민과 관광객들의 시선을 잡아끈다.
하지만 그 아름다움 이면엔 천년의 시간을 거슬러 제주 사람들의 고된 삶과 애환이 묻어있다.
자연이 그린 미술작품 '밭담'
제주행 비행기에 앉아 창밖 너머 제주 풍경을 바라보면 저절로 외마디 탄성을 지르게 된다.
섬 전체를 캔버스 삼아 검은 돌담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그 안을 유채꽃, 청보리 등으로 색칠한 제주는 그야말로 사람과 자연이 함께 그린 미술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https://v.daum.net/v/20221225090037871
[다시! 제주문화] (50)천년 넘게 이어온 농업유산 흑룡만리 '밭담'
[다시! 제주문화] (50)천년 넘게 이어온 농업유산 흑룡만리 '밭담'
[※ 편집자 주 = 제주에는 섬이라는 지리적 여건으로 생성된 독특한 문화가 많습니다. 그러나 오랜 세월 세대가 바뀌고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가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v.daum.net
'人文,社會科學 > 歷史·文化遺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체라면서 가장 비주체적… 중국 종속적인 북한의 역사[송재윤의 슬픈 중국] (2) | 2023.01.08 |
---|---|
중국, 아직도 마르크스를 떠받드는 이유는?[송재윤의 슬픈 중국] (2) | 2023.01.01 |
“마오가 죽었을 때 이제 우리 세대도 구제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송재윤의 슬픈 중국] (1) | 2022.12.25 |
외규장각 의궤, 대장군 수자기.... 빼앗겼다 돌아온 해외 문화재 기구한 사연 (3) | 2022.12.12 |
“14억 인구에서 뽑았는데 중국 축구 실력은 왜 저조한가?”[송재윤의 슬픈 중국] (2) | 202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