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23. 10. 2. 05:01 수정 2023. 10. 2. 06:11
지난달 21일 경남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칠불사. 쌍계사에서 11㎞ 정도 떨어진 이 사찰 대웅전 옆에는 ‘전설의 구들’이 있다. 전통 난방시설로 1000년이 넘었다고 한다. 최근 문화재위원회가 이 구들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올리는 안건을 조건부로 가결해 주목을 받은 ‘하동 칠불사 아자방지(亞字房址)’다.
아자방은 신라 효공왕(897∼912년) 때 ‘구들도사’라 불리던 담공선사가 이중온돌 구조로 처음 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방은 길이가 8m인 직사각형 모양이다. 여기에 바닥에서 45㎝ 높이 좌선대가 마련됐다. 이런 구조가 아(亞)자와 닮았다 해서 ‘아자방’이라 한다. 방을 왜 이런 모양으로 만들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진 게 없다. 다만 스님들이 좌선대에 올라 면벽 수행을 하다 바닥으로 내려와 다리를 풀고 쉬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짐작한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 포털 등에 따르면 아자방 온돌은 1000년이 넘는 동안 형태를 유지해왔다고 한다. 특히 불을 넣으면 위아래 온돌과 벽면까지 한참 동안 따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년의 비밀, 아자방 온돌』이라는 책을 쓴 김준봉 국제온돌학회 회장은 "아자방 아궁이는 서서히 오래 열기를 공급하고 구들과 고래(불길과 연기가 움직이는 길) 두께나 형태 등도 다른 온돌과 달라 오랫동안 열기를 품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31002050119821
한번 불 때면 100일간 뜨끈...1000년 전에 만든 '전설의 구들' [르포]
천년의 비밀 아자방 온돌
하동지리산칠불사아자방
저자 김준봉
출판 어문학사 | 2022.11.25.
페이지수 324 | 사이즈 160*231mm
판매가 서적 18,000원 e북 10,800원
'人文,社會科學 > 歷史·文化遺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 절반”을 노비 삼은 주자학(朱子學)의 나라 조선 (3) | 2023.11.12 |
---|---|
"인생 최고의 호사" 감탄이 절로…창덕궁 달빛기행 가보니 (2) | 2023.10.07 |
‘대한제국 외교 무대’ 돈덕전 100년 만에 돌아왔다 (0) | 2023.09.26 |
“설마 그럴 리(理)가!” 퇴계 이황(李滉), 최후의 깨달음 (2) | 2023.09.24 |
태극기에 담긴 성리학의 우주 생성 이론[변방의 중국몽] (1)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