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7] 낙타 (출처-조선일보 2009.07.24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 동물들이 많이 있지만 그 가운데 특기할 만한 사례로 낙타를 들 수 있다. 다소 놀라운 이야기일지 모르겠지만, 원래 낙타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다. 약 1만3000년 전에 소빙하기가 찾아와 해수면이 지금보다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8.01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7] 인플루엔자 (출처-조선일보 2009.05.19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생물 간의 관계에는 크게 보아 네 가지 형태가 있다. 경쟁(競爭), 공생(共生), 포식(捕食), 기생(寄生)이 그들이다. 한정된 자원을 놓고 벌이는 경쟁은 기본적으로 관계하는 모두에게 해(害)가 된다. 경쟁의 반대편에는 서로..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7.3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2] 재난영화 (출처-조선일보 2009.08.29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중세사) 영화는 사회의 다양한 모습들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다. 할리우드 영화의 역사가 이를 잘 보여준다. 1929년의 대공황 이후에는 프랑켄슈타인, 드라큘라, 늑대인간 같은 괴물들이 등장하는 영화가 큰 인기를 누렸는데, 이는 사회 전..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7.3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1] 잔 다르크 (출처-조선일보 2009.08.21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잔 다르크(1412~1431)는 프랑스 역사의 위대한 인물이자 동시에 신비에 싸인 주인공이다. 프랑스의 모든 집단과 단체는 자기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잔 다르크를 끌어들이려 한다. 가톨릭교회는 신의 뜻을 수행한 성녀로, 보수파는 프랑스..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7.30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6] 불공평 (출처-조선일보 2009.05.11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최정규 교수는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논문을 게재한 보기 드문 경제학자이다. 《이타적 인간의 출현》(2004)이라는 책을 출간한 바 있는 그는 전통적인 경제학에서 전제하는 이기적 인간이 자기..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7.29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 수카르노 (출처-조선일보 2009.08.14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수카르노(1901~1970)는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로부터 인도네시아를 독립시키고 신생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인도네시아의 독립에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은 일본 제국주의의 동남아시아 침략이었다. 1942년 일본군은 인도네시아를 정..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7.28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5] 과학기술 추경예산 (출처-조선일보 2009.05.04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생태계의 안정성을 가늠하려면 대체로 두 가지 속성을 분석한다. 저항력(resistance)과 회복력(resilience)이다. 저항력이란 자연재해·질병·경쟁 등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생태계가 얼마나 잘 버티는가를 나타내며, 회복력은 일단 피..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7.27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8] 로마제국 멸망과 납 중독 (출처-조선일보 2009.07.31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로마제국의 멸망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설이 제기된 바 있다. 노예제 대농장(라티푼디움)의 비효율성과 노예 공급의 중단으로 경제가 전반적으로 불황에 빠진 점, 기독교를 비롯한 외래 종교의 전파로 군인들의 강건한 상무정신이 쇠퇴..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