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 포럼] ‘중국 보너스’계속 챙기려면 한·중 FTA 잘 살려야 [중앙일보 2015-2-9 일자] 한우덕/중국연구소 소장 2008년 금융위기로 야기된 세계 경제 환경 악화 속에서도 우리 경제를 이나마 버틸 수 있게 해준 상징적인 브랜드가 셋 있다. 우선 ‘갤럭시’를 꼽아야 할 터다. ‘스마트폰을 개발한 것은 애플이지만, 돈을 가장 많이 번 것은 한국 기업’..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2.09
[한·일 경제포럼-토른·질의응답] “한국은 진정한 의미의 금융위기 시작되지 않았다” [서울신문 2015-2-7 일자] “최근 10년간의 한국 동향을 살펴보면 1980년대 일본이 떠오른다.” 니와 우이치로 이토추상사 명예이사는 6일 한·일 경제 국제포럼 2부에서 이어진 토론에서 “한국이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답습하고 있느냐”는 안미현 서울신문 경제부장의 질문에 이같이 답..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2.08
[기고] 수도권 규제 혁파의 解法 (출처-조선일보 2015.02.05 김진표 前 경제부총리) 우리 경제가 저성장·저소득·저소비·저투자의 악순환에 빠져들고 있다. 정부가 경기 부양의 마중물을 붓고 있지만 경제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표인 일자리 상황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청년 실업률이 9%대까지 치솟았고, 사실..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2.05
[세상 읽기] ‘물가 안정’이 반갑지 않은 이유 [중앙일보] 입력 2015.02.04 [일러스트=김회룡] 김종수/논설위원 경제 현상 중에는 보통사람들의 상식이나 직관에 어긋나는 일들이 더러 있다. 언뜻 보기엔 좋은 일 같지만 결과적으로 해가 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일견 경제에 부담이 되는 것 같지만 나중에 보면 경제에 보탬이 되는 경우..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2.04
[월드 이슈] 최악 시나리오 땐 성장률 반토막 난다 [국민일보 2015-2-3 일자]> 연초부터 신흥국발 금융위기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국제유가 급락으로 베네수엘라와 러시아 등 산유국 외환위기 조짐이 커지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으로 신흥국 시장에서 해외 자금이 빠져나갈 것이란 분석이다. 신흥국 위기가 도미노처..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2.03
[경제초점] 富 만들기, 굴리기, 뺏어 먹기 (출처-조선일보 2015.02.02 김종석 홍익대 경영학과 교수) 투자·혁신 의욕 잃은 기업인… 덜 일하고 더 받으려는 근로자 재테크·보조금 선호하게 만든 정부 정책이 경제 危機 초래해 경제 주체가 부가가치 창조에 집중하도록 하는 게 경제 革新 사람들이 돈을 버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다...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2.02
미국 무상교육, 중국 부실채권, 한국은 노동시장이 문제 [중앙선데이 2015-2-1 일자]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장 글렌 허버드 인터뷰 블룸버그 미국 보수 진영의 대표적인 경제학자 글렌 허버드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장은 “올해 세계경제는 미국이 주도하겠지만 미국의 국내 정치가 걸림돌”이라고 진단했다. 공화당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했..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2.01
[중앙시평] 한국경제 좀 죽어야 살아날 수 있다 [중앙일보 2015-1-31 일자] 조윤제/서강대 교수·경제학 나이 사십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던가. 경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우리 경제는 과거 우리가 취해온 정책과 걸어온 경로의 결과로서 오늘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그 모습이 맥없고 일그러져 있다면 과거 .. 時事論壇/經濟(內,外) 201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