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5] 바칼로레아 (출처-조선일보 2010.11.19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세계의 대학 입학제도 가운데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프랑스의 바칼로레아가 있다. 이것은 중등교육과정을 잘 수료하여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지 검정하는 시험으로서, 우리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리세 마지막..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4] 폼페이우스의 해적 소탕 (출처-조선일보 2010.11.12 주경철 서울대교수·서양근대사) 고대 로마에도 해적이 아주 심각한 문제였다. 기원전 1세기에 소아시아 출신의 해적들이 실리시아(오늘날 터키 동남부의 지중해 연안 지방)를 근거지로 하여 지중해 전역에 준동했다. 당시 로마의 내정이 워낙 어지러웠기 때문에..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4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3] 알프레드 노벨 (출처-조선일보 2010.11.05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은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태어나 9세에 아버지가 군수공장을 운영하고 있던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했다. 그는 과학만이 아니라 어학과 문학에도 소질이 있어서 곧 5개의 외국어를 구사할 수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3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2] 인구센서스와 인구사 (출처-조선일보 2010.10.29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59,594,978명. 이 수치는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서 밝히고 있는 서기 2년 중국 한나라의 인구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과거 인구는 현재보다 훨씬 소규모여서, 오늘날 남·북한 인구를 합치면 옛날 중국 인구보다 많은 셈이다.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2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1] 피자 (출처-조선일보 2010.10.22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피자를 먹을 때마다 혹시 '피자의 세계사' 같은 연구서는 없을까 생각하곤 했다. 과연! 파리의 사회과학고등연구원 교수인 실비 산체스라는 여류역사가가 바로 그런 책을 출판했다. 최근 한국을 방문한 이란 요리사가 피자의 원..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0] 생일 (출처-조선일보 2010.10.15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자신의 생일을 기념하는 것은 생각만큼 그렇게 일반적인 관행이 아니었다. 중세 유럽의 경우, 1년에 한 번 돌아오는 기념일이라는 의미의 'anniversary'라는 단어는 흔히 태어난 날이 아니라 죽은 날을 의미했다. 교회에서도 생일을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0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79] 탈리오 법칙 (출처-조선일보 2010.10.08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피해자가 입은 피해와 같은 정도의 손해를 가해자에게 가하는 보복의 법칙'을 탈리오 법칙(lex talionis)이라 한다. 우리말로는 동해보복법(同害報復法) 혹은 반좌법(反坐法)이라고 하며, 흔히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로 표현..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09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78] 손자와 비스마르크 (출처-조선일보 2010.10.01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전국시대의 위대한 전략가 손자(孫子)는 전력을 다해 전쟁에서 이기는 것을 결코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오히려 가급적 무력충돌을 피하고, 음모와 위장전술을 쓸 것을 권했다. 자국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각종 권모술수..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