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93] 종(Zong)호 학살 사건 (출처-조선일보 2011.01.14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1781년 가을, 아프리카를 떠나 자메이카를 향해 항해하던 영국의 노예운송선 종(Zong)호는 너무 많은 노예를 싣고 있었다. 식량이 떨어져 가고 전염병이 돌아 7명의 선원과 60명의 노예가 죽었다. 만일 병든 노예들이 목적지에 도착..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2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92] 올드 파 (출처-조선일보 2011.01.07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사람은 150세까지 살 수 있을까? 텍사스대학의 스티븐 오스태드 교수는 "앞으로 20~30년 안에 인간 수명을 30% 정도 추가로 연장시키는 약이 개발돼 지금 살아있는 사람 중 한 명이 '150세 기록'을 세울 것"이라 주장한 반면, 일리노이..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24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91] 유토피아 (출처-조선일보 2010.12.31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유토피아는 16세기 영국의 지식인이자 정치가였던 토머스 모어의 공상 소설 제목으로서 '어디에도 없는 곳(u+topia)'이자 동시에 '세상에서 가장 좋은 곳(eu+topia)'을 뜻한다. 그 이상사회는 고단하고 비참한 현실사회의 거울 이미지..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23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90] 환희의 송가 (출처-조선일보 2010.12.24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베토벤의 9번 교향곡 '합창'은 송년음악회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곡 중 하나일 것이다. 특히 실러가 지은 시 '환희의 송가'에 베토벤이 곡을 붙인 4악장은 장엄한 아름다움으로 우리의 영혼을 사로잡는다. '모든 사람이 형제가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2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9] 長壽 (출처-조선일보 2010.12.17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무녀 시빌레는 아폴론 신의 사랑을 받아 무엇이든 소원을 한 가지 들어주겠다는 말을 들었다. 시빌레는 한 움큼의 모래를 쥐고는 모래알 수만큼의 수명을 달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수명이 다할 때까지 젊..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9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8] 가장 위험한 순간 (출처-조선일보 2010.12.10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북한에서는 혹독한 독재정치가 지속되건만 현재 북한 주민들 중에 그 체제를 전복시키고 혁명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 보이지는 않는다. 정치와 사상 통제가 철저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체제가 영구히 지속되고, 사..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7] 허위 정보 (출처-조선일보 2010.12.03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제2차 세계대전 말인 1944년 12월, 독일 방향으로 진격해 들어가는 연합군에 대해 나치군은 대반격을 가했다. 이때 특별한 역할을 한 것이 독일군 무장 친위대 지휘관 오토 스코르체니 중령의 특수부대이다. 이들은 후방에 침투해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7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86] 스파르타 (출처-조선일보 2010.11.26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대왕은 그리스 세계의 정복을 꿈꾸며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공격해 들어왔다. 테살리아와 마케도니아처럼 지레 겁을 먹은 일부 도시국가들은 항복한다는 의미로 물과 흙을 선물로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