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9] 일본의 총 (출처-조선일보 2010.07.30 주경철 서울대교수·서양근대사) 중국에서 개발된 총과 화약은 주변의 여러 문명권에 전파되었다. 그런데 특이하게 일본은 중국으로부터 총을 받은 게 아니라 1542~43년에 포르투갈 모험가인 핀투라는 인물에 의해 서양식 총기를 전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2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8] 중국의 총 (출처-조선일보 2010.07.23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화약(火藥)을 처음 개발한 곳은 중국이다. 그렇지만 애초에 화약을 만든 이유는 살상용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연단술사가 불사(不死)의 약을 찾기 위해서이다. 화약을 처음 언급한 책은 800년대 중반에 나온 도교 책자..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2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7] 인류의 진화와 가무(歌舞) (출처-조선일보 2010.07.16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다른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의 특징이라면 흔히 불의 사용, 도구 제작, 언어 같은 요소를 든다. 인간이 자연 생태계의 정점에 올라서게 된 데에 이런 요소들이 지극히 중요한 요소였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런데 그에 못지않게 중..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24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6] 바스티유 함락 (출처-조선일보 2010.07.09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1789년 7월 14일, 파리 시민 약 8800명이 바스티유 앞에 운집했다. 바스티유는 원래 중세에 파리 시를 수비하는 성채로 건설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파리 시 자체가 팽창하는 바람에 시내 한복판에 위치하게 되었고 감옥으로 용도..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23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5] 유럽중심주의 역사 서술 (출처-조선일보 2010.07.02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물속에 흘러들어가는 배설물 때문에 중국은 간·폐·장 디스토마와 주혈흡충의 세계적인 저장소가 되었으며, 이것들이 심각한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었다. 중국 사람들의 간 기생충의 무게를 전부 합치면 200만명의 사람 몸무게..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22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4] 미친 기업과 착한 기업 (출처-조선일보 2010.06.25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1886년 미국 대법원의 수석재판관인 모리슨 웨이트는 미국수정헌법 제14조에 근거하여 회사는 사람과 똑같은 권리를 가지는 존재라고 판결했다. 회사는 적어도 법적으로는 실제 사람과 똑같은 존재인 법인(法人)이 되어서, 그 자..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19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3] 붉은 악마 (출처-조선일보 2010.06.18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우리나라 축구 국가대표팀 응원단을 지칭하는 '붉은 악마'는 우리만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이 애용하는 이름이다. 콩고와 벨기에 국가대표팀의 별칭인 '디아블 루즈(Diables Rouges·프랑스어)'나 '로데 다..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17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2] 축구의 탄생 (출처-조선일보 2010.06.11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근대 축구는 빅토리아시대 영국의 사립 중·고등학교(public school)에서 탄생했다. 1840~50년대에 학교 개혁을 주장했던 사람들은 학생들의 폭력성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동시에 규율을 가르치고 용기를 키워주기 위해 축구 경기를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3.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