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소속 국내 연구진 3명이 공저자로 참여했지만 주 저자는 일본인이었다. 이는 대한민국이 지난 10년간 AI 분야에서 톱클래스급 연구에 참여한 유일한 실적이다.
톱클래스급은 최근 2년 내 발표된 논문 가운데 인용건수 기준으로 상위 0.1% 안에 드는 인기 논문을 말한다.
반면 미국과 중국이 지난 10여 년간 쏟아낸 AI 분야 톱클래스급 연구 논문은 각각 28건과 24건에 달한다. 우리나라는 '알파고'로 대표되는 머신러닝 분야에선 이 수준의 논문을 단 한 건도 내놓지 못했다.
글로벌 학술 및 특허 정보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옛 톰슨로이터 지적재산·과학사업부)는 최근 20년간 발표된 AI·머신러닝 분야의 SCI(Science Citation Index)급 학술 논문을 전수 조사해 이같이 지적했다. 1997~2016년까지 학술 논문 데이터 '웹 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에 등재된 AI와 머신러닝 관련 논문 66만3900건과 10만8000건을 각각 분석한 결과다.
1일 매일경제신문이 단독 입수한 '클래리베이트 AI 백서-인공지능 혁신의 세계적 동향과 한국의 현주소'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AI 연구 논문이나 연구자는 질과 양 모두에서 미국 중국 등에 크게 뒤처진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한국의 AI 연구는 논문 건수로는 세계 11위의 '평범한' 수준이며, 영향력은 세계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하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클래리베이트는 AI 관련 분야에서 특히 짧은 기간 가장 인용이 왕성하고 빠르게 이뤄진 '상위 0.1%'의 톱클래스급 논문을 나라별로 비교했다. 전체 AI 분야에서 한국은 지난 10년간 단 한 건으로 미국 중국은 물론 영국(7건) 독일(5건) 등에도 크게 뒤처졌다.
'알파고'로 유명해진 머신러닝 분야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지난 10년간 한국은 머신러닝 분야에서 '톱클래스급' 논문을 한 건도 내놓지 못했고, 같은 기간 중국은 16건을 내놓아 미국(10건)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김진우 클래리베이트 한국지사장(AI 분야 컴퓨터공학 박사)는 "한국은 비교 국가들 중에서는 발표 논문 규모와 우수 논문 비중이 매우 낮다"며 "한국 내에서도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내는 연구자들이 있지만 연구 영향력 면에서 아직 '걸음마'조차 못 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사모펀드 오넥스와 베어링 PE(프라이빗 에퀴티) 아시아가 인수해 톰슨로이터에서 분사한 클래리베이트는 세계적인 학술 및 지식재산 전문 기업이다.
■ <용어 설명>
▷ SCI(Science Citation Index) :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운영하는 국제학술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국제학술지의 인용횟수 등 학문적 기여도를 평가해 데이터베이스 등재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게재된 논문은 국제적 인증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황순민 기자]
'人文,社會科學 > 科學과 未來,環境'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지구에 '8번째 대륙'이 있다고? (0) | 2017.03.11 |
---|---|
[만파식적] ‘빈센트 반 봇’ (0) | 2017.03.07 |
[단독][과천청사 25시] 해체설 미래부 떨고 있다 (0) | 2017.02.26 |
[과학의 창] 인공지능이 만들 인공지능 (0) | 2017.02.22 |
[최형섭의 세상을 상상하는 과학] 박제가는 사대부에게도 기술 공부를 강조했다 (0) | 2017.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