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2018.09.07. 22:32
황영미 숙명여대 교수 영화평론가
보통 사람들도 가끔 건망증으로 깜빡할 때, 앞으로 내게도 치매가 오면 어쩌지 하는 불안감이 생기곤 한다. 인지 능력이 떨어져 자신이 누구인지 우리 집이 어디인지를 알지 못하게 되는 치매만큼 서글픈 일이 또 있을까. 부모가 치매가 심해져 요양원에 보내야 하는 아픔을 겪는 사람이 주변에 많아졌다. 우리나라 전국 치매 유병률이 10%가 넘는다는 중앙 치매센터의 최근 발표도 충격적이다.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성 치매는 이제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치매국가책임제’라는 이름으로 국가시책이 됐다.
영화 ‘어웨이 프롬 허’(감독 사라 폴리)는 아내 피오나(줄리 크리스티)가 치매를 앓으면서 기억을 잃어가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남편 그랜트(고든 핀센트)의 심경을 따라 가고 있다. 영화 초반에는 설거지를 한 프라이팬을 냉동실에 넣거나, 가스불에 물을 끓이다가 집밖으로 나가 버리는 피오나의 초기 치매 증상을 그린다. 증상은 점점 심해져 집을 찾지 못해 눈 쌓인 추운 길거리를 헤매기도 한다. 물건의 이름을 잊어버리는 등 점차 정상 생활이 힘들어진다는 것을 느낀 피오나는 스스로 요양원에 가겠다고 남편에게 말한다.
결혼 44년 동안 행복했던 기억만을 고집하기 어렵게 된 상황이 되자, 그랜트도 어쩔 수 없이 그녀를 요양원에 보낸다. 그러나 적응기간인 첫 한 달 동안은 면회도 금지됐고, 이후 만난 피오나는 치매 요양원에서 만난 다른 남자 오브리를 돌보며 지내고 있다. 정신이 들 때는 남편을 알아보기도 하지만, 곧 오브리 곁으로 가 그와 정답게 지내는 아내를 보는 그랜트의 심경은 화면에 고스란히 나타난다. 오브리는 자신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는다고 그랜트에게 말하는가 하면, 매일 그녀에게 면회 가는 그랜트는 어느새 잊어버리고 자신의 방에까지 오브리를 데려와 “내 사랑”이라고 말하면서 키스까지 하고 있는 아내.
영화는 그런 피오나를 바라보면서도 그녀의 편에 서려는 그랜트를 통해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드러낸다. 피오나와의 아름다운 기억을 떠올리며 가슴 아픈 현재를 극복하려는 그랜트의 노력은 가족이 아플 때 어떻게 상대방의 입장에서 환자를 배려해야 하는가를 보여 준다. 현재의 치매 상태가 심각하더라도, 둘만의 소중한 기억은 평생 가슴 속에 간직할 수 있는 것이다.
황영미 숙명여대 교수·영화평론가
'人文,社會科學 > 作品속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섹스로봇이 인간에 질문을 던지다 (0) | 2018.10.22 |
---|---|
[내가 만난 名문장]공감 그리고 유대감 (0) | 2018.10.16 |
[Why]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 기댈 데 없는 외로움을 읊다 (0) | 2018.09.02 |
[책과 길] 그녀는 요트를 타고 왜 태평양을 건넜나 (0) | 2018.08.20 |
[인물 360˚] '독을 차고' 일제에 저항한 시인 김영랑 (0) | 2018.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