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2024. 2. 23. 02:05
설 연휴기간에 다큐멘터리영화 '건국전쟁'을 봤다.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거나 모르고 있던 여러 사실을 제대로 알게 돼 감명이 깊었다. 특별히 영화 말미에 이 대통령의 업적 중 하나로 원자력 개발 추진이 등장한 대목에 이르러선 각별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이 일었다.
우리나라가 휴전 3년 후 피폐하던 시절인 1956년 문교부에 원자력과를 신설해 세계적으로도 아주 이른 시기에 원자력 개발을 시작한 것은 이 대통령의 탁월한 국제정치적 혜안과 독립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됐다. 미국은 1954년 민간기업의 원자력 참여를 허용하는 원자력법 개정을 통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진작하고 이에 대한 국제공조를 추진했다. 우리나라는 바로 그 이듬해 '원자력의 비군사적 이용에 관한 한미협력을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1957년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1956년부터 4년간 150여명의 원자력 국비유학생을 파견했다.
당시 1인당 국민소득이 60달러선에 불과할 정도로 가난했던 나라에서 원자력 관련 국제활동과 해외 교육에 적극적이었던 것은 원자력에 대한 이 대통령의 각별한 관심과 기대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원자탄뿐만 아니라 머리에서 캐는 에너지에 관심이 많았다. 1959년 진행된 첫 원자로 기공식에서 시삽을 한 이 대통령은 "장차 원자력연구소는 훌륭한 오토믹머신(Atomic Machine)을 만들어야 한다"는 말을 통해 우리나라 원전기술 개발에 큰 기대를 표출했다.
이 대통령에 의해 시작된 우리나라 원자력 개발은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굳건히 이어져 1971년 고리1호기가 착공돼 1978년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이후 45년간 우리나라에선 27기의 원전이 운영되며 4조4000억kwh의 전력을 아주 낮은 비용으로 생산했다....부지요건에 제약이 있는 대형 원전만으론 원자력 비중을 확대하기 어렵다....다양한 SMR 개발과정에는 해당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할 의지가 있는 민간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https://v.daum.net/v/20240223020502123
[투데이 窓]'건국전쟁'에 등장한 원자력의 의미와 과제
[투데이 窓]'건국전쟁'에 등장한 원자력의 의미와 과제
설 연휴기간에 다큐멘터리영화 '건국전쟁'을 봤다.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거나 모르고 있던 여러 사실을 제대로 알게 돼 감명이 깊었다. 특별히 영화 말미에 이 대통령의 업적 중
v.daum.net
윤 대통령 “차세대 원전에 4조 투자”
중앙일보 2024. 2. 23. 00:10
윤석열(얼굴) 대통령은 22일 “원전이 곧 민생”이라며 “올해를 원전 재도약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전폭 지원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14번째 민생토론회를 주재했다.
윤 대통령은 원전 연구 기반도 대폭 강화하겠다며 “우리 정부에서 5년간 4조원 이상을 원자력 R&D에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개발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또 “원전산업이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SMR을 포함한 원전산업지원특별법을 제정하겠다”며 “합리적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올해 중에 수립하고 마무리짓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 초반에 원전과 관련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업적을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1956년 한·미 원자력협정 체결, 59년 원자력원·원자력연구소 설립으로 이 전 대통령이 원전의 길을 열었다”며 “실로 대단한 혜안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에 문재인 정부를 향해선 “무모한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업계가 고사됐다”거나 “이념에 매몰된 비과학적 국정 운영” 같은 표현으로 날을 세웠다.
이어진 토론에선 박사과정 학생이 “정권이 바뀐다면 원전이 배척받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하자 윤 대통령은....“어떤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우리 학생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 않겠느나”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40223001053738
윤 대통령 “차세대 원전에 4조 투자”
윤 대통령 “차세대 원전에 4조 투자”
윤석열(얼굴) 대통령은 22일 “원전이 곧 민생”이라며 “올해를 원전 재도약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전폭 지원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v.daum.net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된 한반도와 대만…한국의 '위치선정'은 (1) | 2024.02.25 |
---|---|
[강천석 칼럼] 총선, 이재명 대표에 罪意識과 윤리 감각 不在 책임 물어야 (2) | 2024.02.24 |
[윤성민 칼럼] 샘 올트먼이 한국 의료대란을 본다면 (1) | 2024.02.22 |
[염재호 칼럼] 인구절벽과 우수 유학생 유치정책 (1) | 2024.02.21 |
[사설] 의사들, 환자 건강 최우선이라는 선서 되새겨야 (3)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