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25. 2. 2. 20:50 수정 2025.02.03. 00:02
트럼프 “캐나다+멕시코 25%, 중국 추가로 10%” 관세 전쟁 스타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의 세율을 추가로 10%포인트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관세 폭탄을 맞은 3국이 즉각 보복 관세 등 반발에 나서면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예고됐던 ‘관세 전쟁’이 현실화됐다.
3국은 즉각 반발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밤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캐나다로 수입되는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1550억캐나다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이 대상이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백악관의 발표 직후 X에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 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담화문에서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면서 “미국의 잘못된 처사에 대해 WTO에 제소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관세 전쟁으로 한국 기업들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 현대차, LG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은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인 미국과 가까운 멕시코, 캐나다에 생산 기지를 구축하는 이른바 ‘니어쇼어링’ 전략을 추진해 왔다. 트럼프는 또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조만간 반도체, 철강, 제약, 석유, 가스 등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멕시코·캐나다는 2020년 7월 1일부터 발효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라 대다수 제품에 무관세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이번엔 미국 안보·경제에 대한 위협을 명분으로 무역 규제에 나설 수 있는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캐나다·멕시코까지 전방위 관세를 부과했다. 영국 BBC는 “매일 여러 방향으로 관세 위협이 퍼져 나가는 상황에서 세계가 미지의 영역에 들어섰다”고 했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설에서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이라고 비판했다.
https://v.daum.net/v/20250202205040179
트럼프發 ‘보복 관세’ 도미노...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전쟁”
트럼프發 ‘보복 관세’ 도미노...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전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의 세율을 추가로 10%포인트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
v.daum.net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전자신문 2025. 2. 2. 18:4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부과를 강행함에 따라 현지 생산거점을 확대해 온 국내 기업들이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당분간 정세 변화를 지켜보면서 적절한 전략 변화를 단행하겠다는 입장이다.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가전, 현지 가격·생산전략 재검토 불가피
멕시코에서 가전과 TV를 생산하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생산 품목을 조정하거나 베트남·유럽 등의 생산거점 활용도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세탁기 공장에서 건조기를 추가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세탁기와 건조기 생산 설비가 거의 동일한 만큼 생산 품목 추가가 가능하다.
LG전자 역시 미국 내 생산량을 확대하거나 유럽, 베트남에서 생산량을 늘려 북미로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자동차 전후방 업계, 비용 충격 예상
미국 수출을 위해 멕시코, 캐나다에 진출한 국내 완성차·부품 등 전후방 업계는 비용 충격을 우려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2일 북미 공급망 구축을 위해 투자해온 복수의 아시아, 유럽 기업 중 피해를 볼 대표적 기업 중 하나로 현대차그룹을 꼽았다.
◇배터리·반도체도 악영향 우려
배터리 분야 역시 캐나다에 많은 투자를 진행해온 만큼 전략 변화가 예상된다. 캐나다는 자원이 풍부한 데다, 미국으로 수출할 때 관세가 거의 붙지 않아 국내 기업들이 전략적 생산기지로 삼아왔다.
반도체 관세 여부도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반도체, 의약품, 철강·알루미늄, 석유·가스 등 광범위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https://v.daum.net/v/20250202184904198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부과를 강행함에 따라 현지 생산거점을 확대해 온 국내 기업들이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당분간 정세 변화를 지켜보면서 적절한 전
v.daum.net
'時事論壇 > 美國消息'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변덕에 살얼음판 걷는 기업들… 애플 긴장, 삼성 안도 (0) | 2025.02.05 |
---|---|
[속보] 美, 멕시코 관세 한 달 유예하기로 (0) | 2025.02.04 |
[사설] 북핵 더 위험해졌는데 한미 연합 훈련만 또 없어지나 (0) | 2025.01.31 |
美국방부 "한미훈련, 트럼프 판단, 尹탄핵 따라 축소 등 달라질 수도" (0) | 2025.01.30 |
백악관 "보조금 지출 일시중단"… 대미투자 韓기업에도 ‘빨간 불’ 켜지나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