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韓이 '간도가 조선땅'이라 주장 안하면 고구려가 中 소수민족이라 주장 안할것"

바람아님 2015. 1. 8. 01:37
[조선일보 2015-1-7 일자]

동북공정 한창이던 2004년 우다웨이 발언 뒤늦게 알려져
우리 정부 주장한 적 없어… 학계 차원 논의 얘기한 듯
앞으로 韓·中쟁점 가능성


	우다웨이 사진

중국의 '동북공정'이 한창이던 2004년 8월 우다웨이(武大偉·사진) 중국 외교부 부부장(현재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이 서울을 방문해 "한국에서 간도가 '조선땅'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고구려가 중국의 소수민족 국가였다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당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으로 우다웨이를 만났던 이종석(57) 전 통일부 장관은 지난해 펴낸 회고록(칼날 위의 평화)에서 동북공정으로 한·중이 충돌할 때의 비사를 소개하며 우다웨이 발언을 공개했다. 동북공정이란 중국이 고조선·고구려·발해의 역사를 중국사로 편입하기 위해 추진한 프로젝트다.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변강사지연구중심(邊疆史地硏究中心)이 2002년부터 5년간 진행했다.

우다웨이 발언은 동북공정의 목적이 역사 왜곡을 넘어 한반도 통일 등을 대비해 논쟁 소지가 있는 간도 지방에 대한 영유권을 굳히려는 데 있다는 중국의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동북공정의 27개 연구 과제 중 고구려사 관련 연구 12개를 제외한 나머지 15개 과제는 이른바 '한·중 변경', 즉 중국과 통일 한반도의 접경지역인 간도에 대한 것이다. 이 전 장관은 저서에서 "우다웨이 발언은 중국이 왜 동북공정을 추진하는지 시사한다"며 "중국은 한국의 민족주의 정서가 연변(延邊)조선족자치주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고 적었다. 현재 중국 동북 3성(랴오닝·지린·헤이룽장)의 일부인 간도에는 200만명에 가까운 조선족이 살고 있다.

특히 간도는 한반도 통일 이후 한·중 간에 분쟁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견해가 학계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18세기 청나라가 자신의 발원지란 이유로 간도를 봉금(封禁)지역으로 지정해 조선인과 한족의 출입을 막기 전부터 간도에는 많은 조선인이 터전을 일구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일본이 1909년 제멋대로 이 지역을 중국(청나라)에 넘겨주는 '간도협약'을 맺으면서 분쟁의 불씨가 생겼다. 일본 강점기 체결한 모든 조약은 일제 패망으로 무효가 된 만큼 간도는 한반도 국가에 반환돼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는 것이다.

우리가 간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가 않다. 한·중은 1992년 수교할 때 '영토 보전의 상호 존중'에 합의했다. 정부 차원에서 "간도가 한국땅"이라고 주장한 적도 없다. 북·중이 1962년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 조약을 맺은 것은 통일 이후에도 무시하기 어렵다.

 

베이징=안용현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