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15-2-13
전북 김제 벽골제에서 신라 원성왕 무렵 제방 보강을 위해 진흙을 담아 쌓은 주머니인 '초낭'(草囊) 흔적이 발견됐다. 한반도에서 초낭이 온전한 형태로 확인된 건 처음이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전북문화재연구원은 한반도 최고(最古)·최대(最大) 수리시설로 알려진 벽골제에 대해 올해 용골 마을 지역에서 발굴 조사를 한 결과 제방 동쪽 부분에서 보축 제방(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에 설치한 보강 시설)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보축 제방 성토층 하부에서 초낭이 다수 발견됐다. 초낭은 일본 가메이 유적(7~8세기) 등지에서 확인된 적이 있다. 남서-북동 방향으로 열을 맞춰 배치된 초낭은 연약한 지반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됐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전북문화재연구원은 한반도 최고(最古)·최대(最大) 수리시설로 알려진 벽골제에 대해 올해 용골 마을 지역에서 발굴 조사를 한 결과 제방 동쪽 부분에서 보축 제방(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에 설치한 보강 시설)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보축 제방 성토층 하부에서 초낭이 다수 발견됐다. 초낭은 일본 가메이 유적(7~8세기) 등지에서 확인된 적이 있다. 남서-북동 방향으로 열을 맞춰 배치된 초낭은 연약한 지반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됐다.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결과 7세기 전후 통일신라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원은 "삼국사기를 보면 원성왕 6년(790)에 전주 등 7개 주(州) 사람들에게 벽골제를 증·수축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며 "초낭은 이때의 시설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초낭에서는 흙과 함께 볍씨, 복숭아씨도 출토됐다. 또 그 아래층에선 담수(淡水) 지표종(指標種)이면서 한해살이 물풀인 마름이 발견됐다. 연구원은 "마름은 벽골제가 과거 담수지(淡水池)였음을 추측해 볼 수는 단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보축 제방 규모는 길이 약 75m, 너비 약 34m이고, 성토층 최대 잔존 높이는 160㎝다. 현장 설명회는 13일 열린다.
'生活文化 > 그때그일그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중근 의사 - 윤동주 시인 관련 사료 잇단 발굴 (0) | 2015.02.16 |
---|---|
"죽어서도 함께.." 약 6000년 전 연인 유골 발견 (0) | 2015.02.15 |
14세기 고려불화 伊서 모셔온다 (0) | 2015.02.13 |
버스값 6배 신탄진 담배, 쌀 한 되와 바꾼 시레이션 … 그땐 그랬지 (0) | 2015.02.12 |
동학농민혁명 최고 기록물 '사발통문' 기탁돼 (0) | 201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