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11>바다를 지배했던 고구려 정신에서 배우자 고구려식 무덤천장을 가진 하이혈 고분, 현재 일본 이시가와 현 노토반도에 있다. 윤명철 교수 제공 윤명철 교수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 가운데 하나가 우리 민족은 해양활동이 활발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특히 고구려는 오로지 만주 대륙에서 말 타고 달리는 기마국가였다..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21
[허준혁칼럼] 감나무에게서 배우는 교훈 [이미지=허준혁] [허준혁칼럼] 감나무에게서 배우는 교훈 차례상에는 감이 있다. 아무리 커도 열매를 한번도 맺지않은 감나무는 나뭇가지속에 검은 신이 없고 감이 열린 나무는 검은 신이 있다. 감을 차례상에 놓는 것도 이러한 감의 속성이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만큼 속이 상하는 부..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9.21
[ 숨어있는 세계사] 영웅이 된 해적, 드레이크 경 (출처-조선일보 2014.09.19 공미라 세계사 저술가) ['해적 왕' 프랜시스 드레이크]에스파냐 보물선 약탈한 해적 드레이크… 英 여왕에 해적 허가증·귀족 작위 받아 칼레 해전서 에스파냐 무적함대 무찔러… 아메리카 식민지 얻어 국가에 기여 세계 일주에 두 번째로 성공하기도['해적 왕' 프..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19
[김정운의 敢言異說, 아니면 말고] '왜 그래, 아빠같이!' (출처-조선일보 2014.09.19 김정운 문화심리학자·여러가지문제연구소장) 불완전한 정보 해석하는 데서 相互작용 탄생 짜증나게 하는 한국 정치·남자에게 告하노니 解釋할 여지 주는 정보의 빈틈을 적당히 두라지난 추석 연휴 기간 참으로 오랜만에 네 식구가 뒹굴며 한 주 가까이 보냈다..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9.19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22] 인드라의 진주 (출처-조선일보 2013.07.04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17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요한네스 베르메르는 밝고 정밀감(靜謐感) 넘치는 실내 정경을 그린 매력적인 작품들을 남겼다. 그는 곡선 형태의 물체를 그리고 그 표면에 주변 사물들이 비치도록 하는 방식을 즐겨 이용했다. 대표적인..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9.18
[기고] 기초과학연구원이 失敗作 안 되려면 (출처-조선일보 2014.09.17 조장희 가천대 석학교수·미국 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 노벨상을 타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극성을 부리고 있다. 어쩌면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부패와 관료화가 과학마저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우려된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9.17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10>‘황금의 땅’ 고구려… 전쟁 나선 수만대군 갑옷도 번쩍번쩍 평양시 진파리 7호무덤에서 나온 해뚫음무늬 금동관 장식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석하 사진작가가 촬영한 것이다. 윤명철 교수고구려는 무려 700여 년 동안 서북방으로는 군사대국인 북방유목종족과 서남방으로는 정치 강대국인 중국지역과 경쟁하면서 강대국으로 존재했다...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16
[토요판 커버스토리]한일관계 ‘조선통신사’에 길을 묻다 [출처; 동아일보 2014-9-13일자] [토요판 커버스토리]한일관계 ‘조선통신사’에 길을 묻다 가깝고도 먼 49.5km 지난달 3일 일본 쓰시마에서 2년 만에 다시 열린 조선통신사 국서 교환식 재현 행사. 쓰시마=배극인 특파원 bae2150@donga.com부산에서 49.5km, 맑은 날 부산 태종대에 오르면 맨눈으로 일..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