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5.07.10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 | 이사 |
조선 개국의 공신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1342∼1398)이 1382년에 지었다.
원대한 이상을 꿈꾸던 삼봉을 권력 세습하던 이들이 놔두고 보지 않았다.
유배와 핍박이 잇따라, 학도를 가르치던 집이 헐리면 그때마다 삶의 터전을 옮겼다.
삼봉재(三峯齋)에서 부평으로, 부평에서 다시 김포로 이사하고 보니 심기가 막막하다 못해 뒤틀린다.
5년 동안 세 번이나 이사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올해도 또 이사다.
드넓은 벌판에 오막살이 한 채가 새집의 주소요 높은 산에 듬성듬성 서 있는 고목이 새집의 조경이다.
스산하기 짝이 없다.
생면부지 농부들은 뉘시냐고 반갑게 물어 와도 개경의 옛 친구들은 뜸하던 안부 편지마저 똑 끊어버렸다.
인심이란 원래 그런 것,
세상이 아무리 나를 내쫓아도 천지는 언제나 받아줄 것이니 되어가는 대로 운명에 맡겨보자.
막막하던 심경에서 벗어나 그래 한번 해보자며 오기가 솟는다.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세설신어] [169] 심장불로 (深藏不露) (0) | 2015.07.12 |
---|---|
[정민의 세설신어] [168] 상생패신(傷生敗身) (0) | 2015.07.11 |
[정민의 世說新語] [322] 탐득과수 (貪得寡羞) (0) | 2015.07.08 |
흰떡 ‘설고’의 치명적인 맛 (0) | 2015.07.06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어화(漁火) (0) | 201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