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 2017.03.10 03:04
[용재학술상 받은 존 덩컨 UCLA 교수]
[용재학술상 받은 존 덩컨 UCLA 교수]
조선시대史 분야 업적 인정받아… 주한미군 복무, 고대 사학과 졸업
UCLA 한국학 '西林학파' 이끌어 "열강에 둘러싸여… 민족주의 필요"
'한국이 여러 가지로 어려운 상황일 때 오셨다'는 말에 존 덩컨(Duncan·71)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교수(한국학연구소장)가 유창한 한국말로 받았다. "미국도 참 어려워요." 지난 8일 방한한 덩컨 교수는 다음 날 연세대와 용재기념사업회가 주는 제23회 용재학술상을 받았다. 미국의 대표적인 한국학 연구자로서 특히 조선시대사 분야에서 낸 업적을 인정받았다.
덩컨 교수는 한국의 '민족' 형성이 다른 나라보다 오래됐다고 주장하는 학자다. 최근 들어 서구 학자들은 민족이라는 개념이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 형성됐다고 본다. "하지만 그것은 유럽이나 동남아·중남미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지요. 한국·중국·일본이 있는 동북아의 경우는 다릅니다." 그가 보기에 한국인들은 일찍부터 같은 사회적·문화적 집단에 속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한 왕국이나 왕조를 초월하는 개념이었다. 그 때문에 덩컨 교수는 "'한국 민족'의 형성은 통일신라나 고려 때까지 올라간다"고 말한다.
덩컨 교수는 한국의 '민족' 형성이 다른 나라보다 오래됐다고 주장하는 학자다. 최근 들어 서구 학자들은 민족이라는 개념이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 형성됐다고 본다. "하지만 그것은 유럽이나 동남아·중남미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지요. 한국·중국·일본이 있는 동북아의 경우는 다릅니다." 그가 보기에 한국인들은 일찍부터 같은 사회적·문화적 집단에 속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것은 한 왕국이나 왕조를 초월하는 개념이었다. 그 때문에 덩컨 교수는 "'한국 민족'의 형성은 통일신라나 고려 때까지 올라간다"고 말한다.
그가 보기에 '민족주의'는 지금 한국에서 낡거나 버려야 할 개념이 아니다. "사방이 열강으로 둘러싸인 한국에선 방어 차원의 민족주의가 필요합니다. 그것이 나라를 지키고 남북통일을 이루며 장기적인 안정과 번영을 가져오는 방법입니다." 다만 폐쇄적 민족주의는 곤란하고 '열린 민족주의'로 가야 한다고 했다.
그는 1966년 주한미군 복무를 위해 한국에 왔고 1970년 봄 고려대 사학과에 편입해 학부를 졸업했다. 왜 그때 한국 역사를 전공하기로 마음먹었던 것일까? "정(情)이 많은 나라여서요. 미국의 개인적인 가치관과는 다른 분위기여서 흥미로웠죠."
미국 하와이대에서 석사, 워싱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UCLA 교수가 돼 한국학 연구자를 양성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제자만 30명이 넘는데 이 학자들은 UCLA 캠퍼스가 있는 웨스트우드(Westwood) 이름을 따 자신들을 '서림(西林) 학파'라 부른다. 그동안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한국학의 분위기도 많이 달라졌다. 1970년대 미국 전역에서 한국사 강의를 개설한 대학은 4곳뿐이었지만 지금은 30여 곳으로 늘어났다.
대표 저서 '조선왕조의 기원'에서 덩컨 교수는 고려와 조선의 지배 세력이 연속선상에 있었다고 파악했다. "그렇다고 조선이 고려와 별 차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중앙집권화를 완성해서 역사의 발전을 이뤘죠." 편협한 명분론이라고 폄훼돼 온 조선의 유학(儒學)에 대해서도 재평가를 시도한다. "과거시험 문제와 답안지를 조사해 보니 대단히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내놓고 있었어요. 풍속, 국방, 서양 역법 문제…." 유학이 상당한 유연성을 갖춘 실천적 학문이었다는 얘기다.
현재 그는 몽골 간섭기 고려 지식인과 일제 강점기 조선 지식인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고려의 이제현은 원 제국 내의 고려인 지위를 색목인(서양·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했는데, '일본 제국 내 조선인 지위 향상'을 주장했던 이광수와 비슷한 논리라는 것이다.
그는 "현재의 중국이 개방적인 당(唐)·원(元)나라 모델보다 훨씬 폐쇄적인 명(明)·청(淸)나라 모델을 따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동북아 상황이 좋지 않다"고 짚었다. "한국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면서 다각적인 대응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1960년대 한국에 와 보니 일각에선 '우리는 곧 망할 것'이라 비관했어요. 하지만 지금까지 계속 발전해 오지 않았습니까? 저력을 지닌 나라이니 오래지 않아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낼 겁니다."
그는 1966년 주한미군 복무를 위해 한국에 왔고 1970년 봄 고려대 사학과에 편입해 학부를 졸업했다. 왜 그때 한국 역사를 전공하기로 마음먹었던 것일까? "정(情)이 많은 나라여서요. 미국의 개인적인 가치관과는 다른 분위기여서 흥미로웠죠."
미국 하와이대에서 석사, 워싱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UCLA 교수가 돼 한국학 연구자를 양성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제자만 30명이 넘는데 이 학자들은 UCLA 캠퍼스가 있는 웨스트우드(Westwood) 이름을 따 자신들을 '서림(西林) 학파'라 부른다. 그동안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한국학의 분위기도 많이 달라졌다. 1970년대 미국 전역에서 한국사 강의를 개설한 대학은 4곳뿐이었지만 지금은 30여 곳으로 늘어났다.
대표 저서 '조선왕조의 기원'에서 덩컨 교수는 고려와 조선의 지배 세력이 연속선상에 있었다고 파악했다. "그렇다고 조선이 고려와 별 차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중앙집권화를 완성해서 역사의 발전을 이뤘죠." 편협한 명분론이라고 폄훼돼 온 조선의 유학(儒學)에 대해서도 재평가를 시도한다. "과거시험 문제와 답안지를 조사해 보니 대단히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내놓고 있었어요. 풍속, 국방, 서양 역법 문제…." 유학이 상당한 유연성을 갖춘 실천적 학문이었다는 얘기다.
현재 그는 몽골 간섭기 고려 지식인과 일제 강점기 조선 지식인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고려의 이제현은 원 제국 내의 고려인 지위를 색목인(서양·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했는데, '일본 제국 내 조선인 지위 향상'을 주장했던 이광수와 비슷한 논리라는 것이다.
그는 "현재의 중국이 개방적인 당(唐)·원(元)나라 모델보다 훨씬 폐쇄적인 명(明)·청(淸)나라 모델을 따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동북아 상황이 좋지 않다"고 짚었다. "한국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면서 다각적인 대응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1960년대 한국에 와 보니 일각에선 '우리는 곧 망할 것'이라 비관했어요. 하지만 지금까지 계속 발전해 오지 않았습니까? 저력을 지닌 나라이니 오래지 않아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낼 겁니다."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핵이후 이율곡의 충고를 떠올려야 하는 까닭 (0) | 2017.03.11 |
---|---|
[특별 기고] 그래도 판결엔 승복해야 한다 (0) | 2017.03.11 |
[천영우 칼럼]중국은 본래 그런 나라다 (0) | 2017.03.09 |
[朝鮮칼럼 The Column] 사드, 북핵 폐기 위한 中과의 빅딜 카드 (0) | 2017.03.08 |
<時評>불편한 진실 직시해야 克日 가능하다 (0) | 2017.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