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2019.12.05. 16:29
-심채경 경희대 우주과학과 학술연구교수
탐사선 '카시니'호 13년간 밝혀낸
타이탄엔 드넓은 평야·호수·사막 존재
태초 지구와 비슷한 환경 두루 갖춰
완성된 지도는 구획 정한 지형도 수준
인류, 타이탄서 두번째 탐험 준비
美 나사 2026년 우주드론 보내면
외계 생명체 발견 꿈 이루어질수도
지난달에 드디어 타이탄의 지도가 완성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지구에는 달이 하나뿐이지만 토성의 하늘에는 수십개의 크고 작은 달이 제각각 뜨고 진다. 그중 가장 큰 위성이 타이탄이다. 지난 1997년 미국과 유럽은 토성과 그 주변을 탐험하기 위해 거대한 탐사선 ‘카시니’호에 불을 붙였다. 7년간의 긴 항해 끝에 토성 궤도에 도착한 카시니는 2004년부터 2017년까지 13년간 탐사 대장정을 펼쳤고 그동안 타이탄 주위를 120여 차례 선회했다. 지난달 발표된 타이탄 지도는 카시니를 통해 13년간 얻은 관측자료가 차곡차곡 쌓여 완성된 것이다.
카시니 이전에는 타이탄의 지도라고 할 만한 것이 없었다. 지상에서 가장 큰 망원경으로 봐도 포슬포슬한 주황색 공 모양으로만 보였다. 지구의 황사보다 훨씬 짙은 주황색 연무로 가득 찬 두터운 대기가 지표면을 온통 가리고 있어서다.
고위도 지방에는 천문학자들이 ‘미로’라는 별명을 지어준 지역도 있다. 물이 빠져나간 갯벌 같기도 하고 미로공원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 같기도 한 이 독특한 지형은 지구의 카르스트 지형처럼 암석 일부가 빗물 같은 것에 녹아내려 생겼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 타이탄에서도 비와 구름의 순환, 침식 작용이 일어나고 인류가 타이탄으로 이주해도 지구과학 선생님은 자신의 직업을 유지할 수 있다. 지구와 다른 점은 비의 성분이 메테인·에테인 같은 독성물질로 돼 있어 우리가 그 비를 맞아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누가 알겠는가, 타이탄에는 메테인의 호수에 빠져도 끄떡없는 놀라운 생명체가 있을지. 지구에도 메테인을 먹고사는 미생물이 산다.
타이탄의 지도가 완성됐다고는 하지만 우리가 카카오맵에서 하듯이 위성사진으로 속속들이 들여다볼 만큼의 고해상도 영상으로 지도가 채워진 것은 아니다. 여러 장비로 얻은 다양한 자료를 통해 지형의 특성을 몇 가지로 분류하고 구획을 정했을 뿐이다. 어디까지는 사막, 어디까지는 호수 하는 식이다. 그러니 ‘지형도’가 완성됐다고 하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 물론 우리는 타이탄 표면의 자세한 사진도 가지고 있다. 해상도가 사진 속 돌멩이의 개수를 셀 수 있을 정도로 높다. 안타깝게도 딱 한군데의 사진뿐이다.
카시니 탐사선은 토성이 지배하는 세계로 떠나면서 타이탄을 위한 특별 패키지, 하위헌스 탐사정을 가지고 갔다. 카시니가 타이탄 근처를 지나면서 하위헌스를 내려보냈고 200㎞ 상공에서 낙하산을 편 하위헌스는 대기성분과 바람의 속도 등을 분석하며 천천히 내려온 뒤 72분 동안 표면의 사진을 찍었다. 이 낙하지점이 우리가 타이탄에 대해 아주 자세히 살펴본 유일한 장소다. 그 상공의 바람이 우리가 타이탄에서 느껴 본 단 한 번의 바람이었다.
타이탄은 우주 드론이 활약하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다. 지구와 비슷한 1.5기압의 대기가 있기 때문이다. 달과 수성에는 대기가 없으니 날개가 몇 개라도 양력을 받지 못한다. 화성이라면 대기가 조금 있다. 비록 지구 대기의 1%에 불과하지만. 그러나 우리 인류는 컴퓨터 한 대가 어지간한 교실 크기였던 50년 전에 이미 달에 사람을 보냈다가 무사히 귀환시킨 종족이 아닌가. 화성에서 쓰일 헬리콥터 드론은 이미 거대한 진공 체임버 안에서의 성능시험을 마치고 내년 6월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2000년대 초반, 유럽우주국(ESA)은 타이탄에 열기구를 띄워 탐사하는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으나 경제 위기와 함께 세계 각국의 우주탐사 계획이 상당수 수정 또는 통폐합되면서 타이탄 열기구의 우선순위도 하향조정됐다. 그러나 타이탄은 돈 문제로 탐사를 포기하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곳이다. 지구와 비슷한 구성 성분, 대기의 순환, 수없이 많이 발견된 유기물질···. 생명체를 찾아 태양계를 방문한 외계인이 지구 다음으로 들릴 곳은 필경 타이탄이 아니겠는가. 타이탄의 환경은 생명체가 등장하기 직전의 지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어쩌면 이미 그곳에서도 첫 생명이 잉태됐는지 모른다. 그래서 지구상의 우리도 타이탄으로 자꾸만 향한다. 낙하하는 탐사정에 이어 이번에는 끝없이 다시 날아오르는 드론을 가지고. 60년 전 미국의 소설가 커트 보니것이 ‘타이탄의 사이렌’을 통해 예언했듯이 우리의 우주 방랑은 타이탄으로 향한다.
'人文,社會科學 > 科學과 未來,環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스크시각-김찬희] 1849년 중국, 2019년 한국 (0) | 2019.12.13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0) | 2019.12.11 |
'반지의 제왕' 촬영지마저..호주 산불 연기, 뉴질랜드까지 도달 (0) | 2019.12.06 |
[서소문사진관]기후변화, 지구가 보내는 마지막 메시지 (0) | 2019.12.01 |
인명 피해·환경 오염 없는 한국의 원전, 이대로 포기할 것인가 (0) | 201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