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2023. 7. 22. 14:00 수정 2023. 7. 22. 14:18
■ 정충신의 꽃·나무 카페
국화로 정식 채택 기록없어…개화기 때 애국가 가사 삽입‘민족 얼’ 상징
아침에 꽃 피웠다가 해 지면 꽃잎 접고 밤이면 떨궈…하룻영화꽃
서양은 ‘샤론의 장미’…하와이 무궁화·덴마크 무궁화 친인척
무궁화 종류는 200종…배달계·단심계·아사달계, 홑꽃·반겹꽃·겹꽃
왜 무궁화(無窮花)일까?
아침에 꽃을 피웠다가 해가 지면 꽃잎을 접고 밤이면 꽃잎을 떨구는 무궁화를 보고 중국인들은 ‘하룻영화꽃’이라고 했다.
하지만 무궁화는 ‘쉴새 없이 피고 지고 또 피어나는 꽃’이다. 7월부터 10월까지 100여일 동안 피고지며, 한 그루에서 3000 송이 꽃을 피워내기도 하는 대단한 나무래서 붙여진 이름이다. 영원히 지지 않는 꽃이라는 의미다. 무궁화는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싱징하기도 한다.
무궁화 종류는 200종 이상으로 꽃잎 색깔에 따라 순백색의 흰 꽃인 ‘배달계’, 꽃의 중심부에 단심(丹心·붉은 색)이 있는 ‘단심계’, 단심이 있고 꽃잎에 무늬가 있는 아사달계가 있다.
꽃잎 형태에 따라 홑꽃, 반겹꽃, 겹꽃 3종류가 있다.
https://v.daum.net/v/20230722140006458
한 그루에 100일 간 3000송이도 피는 ‘무궁화’[정충신의 꽃·나무 카페]
한 그루에 100일 간 3000송이도 피는 ‘무궁화’[정충신의 꽃·나무 카페]
글·사진=정충신 선임기자 왜 무궁화(無窮花)일까? 아침에 꽃을 피웠다가 해가 지면 꽃잎을 접고 밤이면 꽃잎을 떨구는 무궁화를 보고 중국인들은 ‘하룻영화꽃’이라고 했다. 하지만 무궁화는
v.daum.net
'人文,社會科學 > 自然과 動.植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룸에서] 푸바오를 떠나보낼 준비됐나요 (1) | 2023.07.28 |
---|---|
[김민철의 꽃이야기] 박경리가 자신을 투영한 인물의 상징으로 쓴 꽃은? (1) | 2023.07.25 |
3살 푸바오, 맏언니 됐다…국내 첫 ‘쌍둥이 판다’ 탄생 [만리재사진첩] (1) | 2023.07.11 |
[강병로의 산야초 톡Ⅱ] 60. 앵초-천국의 문을 여는 자주색 숲의 요정 (1) | 2023.07.11 |
[박건형의 닥터 사이언스] 꿀벌만 걱정하는 세상, 나방은 억울하다 (2)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