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2023. 10. 25. 00:10
올해 1.9%·내년 1.7% OECD 예측, 줄곧 내리막길
구조개혁, 생산성 제고의 저성장 극복 플랜 마련을
한국이 1%대 잠재성장률 시대에 들어섰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이 나왔다. OECD는 올해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1.9%, 내년은 1.7%로 추정했다.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가 물가 급등이나 경기 과열 없이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이다. 경제의 기초체력을 의미한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 밑으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다. 더구나 내년엔 한국 경제 규모의 약 13배나 되는 세계 1위 경제 대국 미국의 잠재성장률(1.9%)보다 낮아진다. 2001년만 해도 우리의 잠재성장률은 5.4%였지만, 그 후 줄곧 내리막을 걸었다. 20년여 만에 3분의 1토막이 났다. 이렇게 경제의 기초체력이 무너지고 저성장이 고착하는 게 바로 위기다.
주된 이유는 빛의 속도로 진행 중인 저출산, 고령화다. 지난 2분기 합계 출산율은 0.7명으로 또다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국회 예산정책처 추계에 따르면 2040년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318만 명으로 2020년(632만 명)의 절반으로 쪼그라든다. 인구 절벽이 10~20년 안에 가시화한다는 예측이다. 또 다른 중대 이유는 낮은 생산성이다.
한국의 수출주도형 경제는 최근 곤경에 빠졌다. 미·중 패권 경쟁이 과열되고, 국제분쟁 지역이 늘어나면서 공급망이 교란되고 수출 시장이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중국 외에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국가가 한국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대통령 말 한마디에 국가 미래가 걸린 연구개발(R&D) 예산을 싹둑 자르는 식의 상명하복 시스템으로는 안 된다.
https://v.daum.net/v/20231025001029090
[사설] 1%대로 추락한 잠재성장률, 한국경제 비전은 무엇인가
[사설] 1%대로 추락한 잠재성장률, 한국경제 비전은 무엇인가
━ 올해 1.9%·내년 1.7% OECD 예측, 줄곧 내리막길 ━ 구조개혁, 생산성 제고의 저성장 극복 플랜 마련을 한국이 1%대 잠재성장률 시대에 들어섰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이 나왔다. OECD는 올
v.daum.net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훈 칼럼] 대통령이 달라지면, 그게 혁신이다 (2) | 2023.10.30 |
---|---|
30%대로 추락한 尹·與 지지율…"혁신만이 능사 아니다" [정국 기상대] (1) | 2023.10.27 |
[최민우의 시시각각]대통령의 속앓이 (2) | 2023.10.24 |
[朝鮮칼럼] 대한민국 탄생의 기적… 내일은 유엔데이다 (2) | 2023.10.23 |
[박정훈 칼럼] 이스라엘은 왜 ‘더러운 평화’를 거부했나 (1)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