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대응도 만만치 않다. 인도정부는 일본에 이어 베트남까지 끌어들여 중국의 해상굴기를 견제하면서도 경제실익 챙기기에 주력하고 있다. 인도양 해상패권을 둘러싼 아시아 주요국의 외교전이 갈수록 격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인도양 해상 패권 노리는 중국
16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시 주석은 남아시아 순방 첫 방문국인 몰디브에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구상의 지지를 얻어냈다. 압둘라 야민 몰디브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시 주석과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에서 "몰디브는 중국이 제안한 해상 실크로드 건설을 환영하고 지지하며 적극 참여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구상은 시 주석이 지난해 10월 처음 밝힌 것으로, 중국과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와 스리랑카, 몰디브 등 인도양을 거쳐 유럽에 이르는 해상 교역로를 건설하자는 게 핵심이다. 외견상 경제적 협력을 앞세운 것이지만 사실 아시아 패권을 강화하려는 중국의 군사전략과 밀접한 관계라는 분석이다. 인도양은 세계 해상무역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바닷길인 데다 아프리카, 중동 원유의 주요 운송로이기도 하다.
시 주석은 16일 중국 국가원수로는 28년 만에 처음 방문하는 스리랑카에도 '돈 보따리'를 화끈하게 풀었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스리랑카 방문에서 콜롬보 항구도시 공동건설 프로젝트를 포함한 20개 계약을 체결하고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협상에 착수한다고 보도했다. 중국교통건설(中交集團)과 스리랑카 국가항만사무국이 공동추진하는 콜롬보 항구도시 조성사업은 중국이 개발지의 3분의 1을 보유하는 것으로 투자액만 14억달러에 이른다.
중국은 이미 미얀마 시트웨와 방글라데시 치타공, 스리랑카 함반토타, 파키스탄 과다르 등 인도양 주요 요충지에 대한 운영권 또는 개발권을 확보했다. 이들 거점 항구는 진주목걸이 구상의 핵심으로 중국 해군의 군사거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진주목걸이란 중국이 중동에서 남중국해까지 해로를 따라 투자·개발하는 거점 항구들을 이으면 진주목걸이와 모양이 비슷하다는 데서 생겨난 용어다.
◆신흥대국 인도의 응전
중국으로서는 이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국경분쟁 등을 놓고 앙숙 관계인 인도의 협력이 절실하다. AP통신은 시 주석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64번째 생일인 17일 인도에 도착해 일본이 약속한 금액 이상의 '선물 보따리'를 내놓을 것으로 전망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 1일 방일한 모디 총리에게 향후 5년간 총 3조5000억엔(약 35조원)을 투·융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인도와 홍콩 언론들은 시 주석이 인도 방문 동안 고속철도 건설과 2개 산업단지 조성 등을 포함해 향후 5년간 1000억달러(약 103조7000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일본보다 3배 더 많은 투자·지원으로 일본과 미국에 기울어져 있는 인도에 구애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이날 주뉴델리 대사관 관리들을 인용해 "현재 중국의 인도 투자액이 10억여달러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이 숫자(1000억달러)는 믿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인도는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선보이며 경제실익챙기기에 여념이 없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도가 전날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베트남과 남중국해 해역 석유자원 탐사에 협력하기로 한 것도 모디 총리의 실용적 외교노선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특히 인도는 중국의 진주목걸이 전략에 맞선 범인도양 연합체 구성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 영문 일간지 '타임스 오브 인디아'는 16일 모디 정부가 스리랑카와 몰디브는 물론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동부 등 인도양 연안국들을 아우르는 '마우삼'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마우삼은 인도양 계절풍을 일컫는데, 옛 해상로 및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나라끼리 뭉쳐 지역 이해를 극대화하자는 반중국 연합체 성격이 짙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時事論壇 > 國際·東北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서 '위안부 영화' 개봉 앞두고 '소녀상' 제막 (0) | 2014.09.25 |
---|---|
"'소녀상'은 20년 진실 외쳐온 할머니들의 아픔" (0) | 2014.09.24 |
데라자와 유키 교수 “위안부는 강간 범죄의 피해자 日책임회피로 국가명예 훼손” (0) | 2014.09.19 |
[박보균 칼럼] 시오노 나나미의 '절호의 찬스' (0) | 2014.09.18 |
<MK오피니언> [역사의 향기] 아베 총독, 아베 총리 (0) | 201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