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橫設竪設

[만물상] 월소득 710만원에 재난 지원금

바람아님 2020. 4. 1. 08:59

(조선일보 2020.04.01 김홍수 논설위원)


정부가 소득 하위 70% 가구에 코로나 재난 지원금을 100만원씩 주겠다고 하자 수혜 여부를 확인하려는 사람들의

접속 폭주로 복지부 사이트가 다운됐다.

급히 나선 기획재정부 차관은 4인 가족 경우 월소득 710만원 이하가 지급 대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710만원은 4인 가구 중위소득(줄 세웠을 때 딱 중간인 사람의 소득)의 150%를 의미하는 숫자다.

중위소득 150%까지를 중산층으로 본다.

정부가 중산층까지 코로나 구호금 지급 대상에 넣었다는 걸 보여주려는 것이다.


▶월소득 710만원이면 연봉이 8500만원에 이른다.

올해 연말정산을 한 근로자 1858만명 가운데 연봉이 8500만원 수준이면 소득 랭킹이 상위 9% 내에 든다.

중앙부처 차관보의 월소득이 700만원 수준이다. 정부 안대로라면 코로나 피해랑 아무 상관이 없고,

해고 가능성이 전무하거나, 거의 없는 고위 공무원,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들도 코로나 재난 구호금을 받게 된다.


[만물상] 월소득 710만원에 재난 지원금


▶선진국들은 우리와 달리 저소득·취약계층을 선별, 집중 지원하는 해법을 선택하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이 6만달러가 넘는 미국에선 연소득 7만5000달러 이하 성인에게 1200달러를 주고,

그 이상 소득자는 100달러당 5달러씩 줄어든 금액을 준다. 소득이 9만9000달러를 넘으면 한 푼도 지원하지 않는다.

일본에선 소득 하위 20% 가구에만 가구당 20만~30만엔을 준다. 한두 달치 소득에 해당되는 돈이다.

지원금이 가장 후한 캐나다 경우 4개월간 최대 8000달러(약 600만원)를 주는데, 실직자나 코로나 격리 대상자로 국한하고 있다.


▶정부 설명대로 소비 촉진을 위한 것이라면 우리 정부의 선택은 틀린 답이다.

국회예산정책처 분석에 따르면, 추가로 100만원의 소득이 생겼을 때,

하위 20% 가구는 45만원을 소비에 쓰는 반면 상위 20%는 19만원밖에 안 쓴다.

상위든 하위든 정부가 상품권을 줘도 원래 써야 할 현금 소비를 대체할 뿐 소비를 더 늘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과거 일본에서 그런 현상이 나타났었다.


▶중산층까지 포괄하는 '선심성 구호금'이 나오자 여론도 들끓는다.

"월 710만원 소득자한테 왜 나라에서 구호금까지 주나?"

"근로자 40%는 세금 한 푼 안 내는데, 상위 30%는 그냥 세금 내는 기계냐"

"소득 710만원은 100만원 받고 소득 711만원은 한 푼도 없나"

"취직한 자식이 분가하면 받고, 같이 살면 못 받나" 등 논란이 이어진다.

다시 없었으면 하는 풍경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31/2020033105371.html 



[조선일보 사설] "전 국민에게 매월 60만원 지급" 도박판 베팅 같은 매표 경쟁

(조선일보 2020.04.01)


민주당의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이 전 국민에게 월 60만원씩 현금을 나눠주겠다는 공약을 선관위에 제출했다.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월급을 주겠다는 것이다.

이 공약을 실행하려면 전체 예산의 70%인 연간 360조원이 필요하다.

시민당은 공약이 논란을 빚자 "착오"라며 철회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정부의 포퓰리즘 행태로 볼 때 실수만으로

보이지 않는다. 돈으로 표..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31/202003310534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