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6.01.02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새해를 맞아(新年得韻)
| 新年得韻 春生料理舊岐尋(춘생요리구기심) 只恐風雲翳作陰(지공풍운예작음) 懷仁接物摠知音(회인접물총지음) 悔禍將看上帝心(회화장간상제심) 不堪送子淚沾襟(불감송자누첨금)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새해를 맞아(新年得韻)](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1/01/2016010101837_0.jpg)
일본과 수교를 맺으려 하자 상소를 올렸다가 쫓겨난 처지다.
기분도 전환할 겸 지나온 길을 되돌아봤더니 어두운 기억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이제부터는 새 운명에 몸을 맡길 터라 최악의 상황은 벗어나겠지.
사랑으로 남을 대하면 다들 마음 여는 친구가 되리라 기대해본다.
문제는 나라요 사회다.
위기를 돕겠다며 내미는 남의 손길을 믿어도 좋을까? 절대 그렇지 않다.
스스로 해결하고자 애쓸 때 재앙을 내린 하늘도 진정 후회할 것이다.
곁에 있던 사람이 떠나 마음 아픈 것만 빼놓고는 새로운 희망에 기대를 걸어본다.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슴으로 읽는 한시] 처가에서 (0) | 2016.01.09 |
---|---|
[정민의 世說新語] [348] 석복겸공 (惜福謙恭) (0) | 2016.01.06 |
[정민의 世說新語] [347] 처정불고 (處靜不枯) (0) | 2015.12.30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중 미공개 고려 회화 두 점 있다" (0) | 2015.12.30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서울에 살다보니 (0) | 2015.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