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6.02.06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저자 김호동/ 사계절/ 1999.11.25/ 388쪽/ 25,000원)
912.7-ㄱ988ㄱ 위치 : [강서]종합서고 | 2011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시리아 내전은 시리아 정부군과 수십 개의 무장 세력이 뒤얽혀서 도무지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시리아 내전에서 활동하는 알카에다 계열 단체 가운데 '투르키스탄 이슬람 정당(TIP)'이라는 위구르인 무장 조직이 있다. 이들은 미래의 위구르 독립 전쟁을 대비해서 시리아에서 실전 훈련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르크계 위구르 민족의 이슬람 국가 동투르키스탄을 수립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들이 독립을 꿈꾸고 있는 중국 신장 위구르 지역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수차례 독립 국가가 수립됐다. 야쿱 벡이라는 야심가가 1860~1870년대에 수립한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정권이 대표적이다. 야쿱 벡은 영국과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에서 펼쳤던 패권 다툼을 뜻하는 '그레이트 게임 (The Great Game)' 속에서 독립을 유지하고자 했다. 당시 청나라 정부에서는 '동쪽의 서구 열강·일본, 서쪽의 러시아 가운데 어느 쪽을 주적(主敵)으로 삼아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놓고 치열한 내부 논쟁이 벌어졌다. 당시 논쟁에서 승리한 청나라 정치가 좌종당(左宗棠)이 야쿱 벡의 정권을 무너뜨리면서, 신장 위구르 지역의 독립 국가는 10여년 만에 멸망했다. 그 뒤에 수립된 동투르키스탄의 공화국들도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에 의해 멸망했다. 현재 위구르 일부 단체들은 알카에다 같은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과 연계해서 독립 국가를 건설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중앙유라시아사의 권위자 김호동 서울대 교수의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사계절)은 읽기에 결코 쉽지는 않다. 하지만 100여년간 유라시아 대륙의 심장부에서 계속되고 있는 전쟁을 이해하기 위한 최고의 안내서다. |
"천하의 아킬레우스는 과거 그리스의 '해적'이었을지도…"
(출처-조선일보 2016.02.06 김성현 기자)
'인문학의 뿌리를 읽다' 쓴 김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
김헌(51·사진)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는 '그리스 로마 신화' 강의 시간이면 학생들에게 이런 말을 들려준다.
![김헌 교수 사진](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602/06/2016020600050_0.jpg)
저자 김헌/이와우/ 2016.02.01
페이지 280쪽/ 15,000원
그의 신화와 고전 해석은 '훈고학적'인 뜻풀이에 그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