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 "최근 1년간 극단적 선택 생각" /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년기의 사회·심리적 불안과 정신건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자살 생각을 했다’는 문항에 노인 1055명 중 10.3%가 ‘그렇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65∼74세(853명)의 10.1%, 75세 이상(201명)의 11.4%가 그렇다고 답해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살 생각을 한 비율이 높았다. 조사는 지난해 연구원이 실시한 한국사회의 사회·심리적 불안 실태조사 중 노인 표본 집단의 응답을 추출해 분석한 것이다.
평소 받는 스트레스에 대해 응답자의 22.5%가 ’많이 또는 매우 많이 느낀다’고 답했다. 우울 정도 측정에서도 10.2%가 ‘위험군’으로 분류돼 노인들의 심리적 불안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혀 불안하지 않은 상태’를 0점, ‘가장 불안한 상태’를 10점으로 가정했을 때 평소 느끼는 삶의 불안 수준은 평균 5.6점으로 집계됐다. 특히 혼자 사는 노인(6.0점)이 동거인이 있는 노인(5.4점)보다 불안감을 많이 느꼈다. 월 소득도 불안감에 영향을 미쳤다. 가구 월 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집단은 불안 수준이 4.0점으로 평균보다 훨씬 낮았지만 200만원 미만인 집단은 5.8점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또 △초졸 이상 5.9점 △중졸 이상 5.5점 △고졸 이상 5.1점으로 학력이 낮을수록 불안감이 높았다.
가장 불안감을 느끼는 개인적 요소로는 ‘신체적 건강(6.5점)’이 꼽혔다. 이어 △노후준비(6.4점) △노화로 인한 신체·정서적 문제(5.9점) △스트레스·우울·중독 등 개인의 정신적 건강(5.1점) 등의 순이었다. 사회적 요소 중에는 ‘고위험 신종감염병’이 6.5점으로 가장 높았고, ‘경기 침체 및 성장 둔화(6.4점)’, ‘안전문제(6.0점)’ 등이 뒤를 이었다.
노인들은 이 같은 불안감을 대부분 혼자 이겨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소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3명 중 1명(32.5%)은 ‘수면이나 휴식’을, 24.8%는 ‘TV시청’을 꼽았다. 이밖에 8.7%는 ‘산책’이라 답했으며, ‘없다’는 응답도 7.4%였다.
채수미 연구원은 “노년기의 불안은 정신건강 및 다양한 사회병리 현상과 연결지어 설명되기 때문에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증진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人文,社會科學 > 日常 ·健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글속 세상] 잠시 '한뼘 창'을 내려놓고 '마음의 창'을 열어보세요 (0) | 2016.10.26 |
---|---|
<살며 생각하며>편작, 名醫(명의)의 조건을 말하다 (0) | 2016.10.21 |
英 연구기관 "한국인, 술 살 1위국" ..하루 평균 술로 168kcal 섭취 (0) | 2016.10.17 |
[일사일언] 자연의 커튼, 풍선덩굴 (0) | 2016.10.17 |
물 너무 많이 마셔도 위험한 이유 (0) | 2016.10.16 |